본문 바로가기

미술사랑

(1827)
미술용어[ㅅ] 미술용어[ㅅ] 사실주의 '사실주의(Realism)'란 개념은 이지적, 현실적, 객관적인 경향을 띠면서, 사물을 있는 그대로 충실히 묘사하는 사조를 말한다. 사실주의는 19세기 중반기에 문학과 미술을 중심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문예 흐름이다. 미술에서의 사실주의 경향은 프랑스 화가 꾸르베를 시발로 하여, 도미에, 밀레 등의 대표적 화가들로 대변될 수 있다. 19세기 중반에 들어서 서유럽 사회는 정치적으로는 시민계급의 권리를 옹호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경제적으로는 산업 혁명의 숨가쁜 발전 속에서 빠르게 변화하고 있었다. 새로운 기계의 발명 덕분에 대량생산되는 값싼 상품들은 당시 사람들을 새로운 세계에 대한 기대와 함께 좀더 나은 생활을 꿈꾸게 했다. 그러나 이러한 대량생산 체제는 다른 한편으로 인간을 궁지에..
미술용어[ㅇ] 미술용어[ㅇ] 아르 누보 '신미술'이라는 뜻의 미술사 및 미술 비평용어로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서 유럽 전역에 넓게 퍼졌던 장식적 양식을 일컫는다. 아르 누보에 대한 관심은 1930년대에 살바도 르 달리를 중심으로 하는 파리의 초현실주의 그룹과 1937년에 발간된 니콜라우스 페브스너 의 에 의해 다시 환기되기도 하였다. 1950년대 이후에도, 취리히에서 열린 '아르누보 전람회'(1952), 빅 토리아 앨버트 미술관에서 열린 '빅토리아 시대 및 에드워드 시대의 장식 미술 전람회 '(1952∼53), 뉴욕 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아르 누보 전람회'(1960) 등의 여러 전람회를 통해 관심이 지속되었다. 이 양식의 특징과 역사 등에 대한 연구는 로버트 슈무츨러에 의해 집중 적으로 이루어졌는데, ..
미술용어[ㅈ] 미술용어[ㅈ] 자동 기술법 초현실주의 작가들이 사용한 기법으로 무의식적 자동작용, 자동묘법이라고도 한다. 자동기술 법은 초현실주의 미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20세기 미술 및 문학 등에까지 영향 을 미쳤다. 즉 모든 습관적 기법이나 고정관념, 이성 등의 영향을 배제하고 무념무상의 상태 에서 손이 움직이는 대로 그리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특히 잠든것도 아니고 깨어 있는 것도 아닌 중간 상태가 좋은데, 여기서 자연히 표출되는 선이나 형태 또는 말은 무의식 세계를 투영하고 있다. 초현실주의의 초기에는 특히 "수면의 시대"라고 불릴 만큼 자 동기술법, 꿈의 기술, 영매술적 실험등이 많이 행해졌다. 그들은 꿈과 우연, 원시적인 이야기 등에서 힌트를 얻어 불가사의하기 짝이 없는 이미지를 자..
미술용어[ㅊ] 미술용어[ㅊ] 천경자 (1924~) 동경여자 미술학교졸업 1954~1974 홍익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침 초기에는 신화적이고,전설적인 소재를 작품을 함. 이후 꽃과 여인을 소재로 계속 작업을 하고 있다. 전설 1961 종이에 채색 122*148 사월 1974 종이에 채색 26*40 막간 1986 종이에 채색 40.9*31.8 무명배우 신디 1991,종이에 채색 41.5*31.5 청기사그룹 1911-1914년을 중심으로 활동한 청기사파는 화면의 조형적 효과를 무시하고 읺고 형태와 내용을 조화시키면서 화려한 원색의 장을 펼치고 있다. 뮌헨을 중심으로 활동한 이 그룹은 다리파 같이 독일 낭만주의에 근거하고 있으나, 집단적 인 공동작업이나 과격한 사회 비판적인 태도를 내세우지 않고, 여러 나라들의 미술가들이 함께 ..
미술용어[ㅋ] 미술용어[ㅋ] 카라(Carlo Carra)-(1881~1966) 카라의 1914년작인 [애국적 선언]은 큐비즘의 콜라주가 어떻게 미래주의 강령에 맞게 상용 되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글자들은 정치적인 의미를 확실히 하고 있는데, 마치 소리나 말처럼 당시 고조되고 있던 전시의 분위기를 잘 나타내고 있다. 그는 여기서 왕과 군대를 찬양하였고 사이렌과 군중의 소음을 시각적으로 나타냈다. 이 작 품이 그 해 8월 1일 [라 체르바]지에 실린지 불과 며칠 후 독일은 연합군에게 선전포고를 하게 된다. 건물의 페인트공, 실내장식가, 프레스코 화가로 일했었다. 1910년 정치적 주제를 갖은 분할 주의 풍의 작품을 그린다. 파리를 여행하고 돌아온 후, 이 작품의 공간구성을 입체주의적 분 할 시각으..
미술용어[ㅌ] 미술용어[ㅌ] 타블로 Tableau (불) 원래 벽이나 천정등에 고정되어 있는 회화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판화(版畵)라는 의미 로 쓰이기 시작했다. 역사적으로는 고대 말기의 미이라의 초상, 비잔틴 미술의 이콘, 중세 르네상스의 제단화가 이에 해당되나, 오늘날에는 캔버스나 화지에 그린 그림을 말한다. 보통 액자에 넣어 독립된 회화 공간을 만든는 것이 특징이다. 이 경우 에튀드나 밑그림 등 은 포함되지않고, 어디까지나 완성된 회화를 가리킨다. 따라서 이때의 역어(譯語)로는 그냥 회화 작품이라 한다. 탈구축(deconstruction) 프랑스 후기 구조주의의 입장 일반을 표명하는 용어. 탈구조나 해체로도 번역된다. 그 사유 방식은 자크 데리다의 해체주의적 작업, 미셸 푸코와 자크 라깡, 줄리아 크리스테바..
미술용어[ㅍ] 미술용어[ㅍ] 파괴 예술(Destructive Art) 폭력과 파괴라는 20세기의 특징적인 형상은 현대 예술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1960 년대 전반기엔 각국 출신의 여러 미술가들이 제2차 세계대잔 이래 인류가 행한 파괴를 유래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파괴와 폭력을 창조의 방법으로 사용하여 새로운 형식을 발전시켰다. 이렇게하여 파괴 예술은 자족적인 하나의 미학으로 부상했다. 이 예술은 대게 공개적으로 진행했고 그래서 청중은 계속되는 파괴행위로 변형된 대상들을 목격할 수 있었다. 그 변화 과정은 결과로 생기는 파편이 아니라 하나의 예술로 간주되었다. 장 팅겔리는 스스로 폭파 되는 기계를 전시했고 토슈는 타자기를 때려 부수었으며 래담은 스콥(Skoob) 탑 (북(books) 의 철자를 거꾸로 한)을 ..
미술용어[ㅎ] 미술용어[ㅎ] 하드 엣지(Hard-Edge) 1950년대 말에 일어난 미국의 기하학적 추상화의 새로운 경향. '쿨 아트', '신추상(New Abstrction)' 이라고도 불린다. 당시 미국 화단에서 지배적이던 추상표현주의에 반기를 든 일련의 작가들의 작품에 대해 쓰여온 명칭이다. 이 말을 처음 쓴 것은 1959년 미국의 평론 가 쥴스 랭스너이지만 영국의 평론가 로렌스 알로웨이에 의해 일반화 되었다. 이 회화의 특 징은, 명칭이 시사하듯이 단단한 가장자라에 의해 화면이 구분되며, 시원하고 단순한 색깔로 그려졌다는 점이다. 또 종래의 기하학적 추상회화에서는 각각 독립된 의미를 지니는 형태 몇 개를 조합하여 하나의 전체를 구성하는 방식, 즉 화면 전체를 몇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 는 그런 표현 방식에도 사용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