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사및교육/동양미술의 이해

(5)
조폐공사, ‘한국 100대 인물’ 시리즈메달 6차 출시 조폐공사, ‘한국 100대 인물’ 시리즈메달 6차 출시 한국조폐공사(www.komsco.com)는 한국의 경제, 사회, 과학, 역사, 정치, 문화 등을 대표하는 인물 100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의 인물 시리즈 메달’ 6차분을 2008년 7월 28일 출시하였다. 이번 6차 메달은 삼국통일의 기반을 다진 신라명장 “김유신”장군과 칠백의병으로 왜군에 맞서 싸우다 장렬히 순국한 의병장 “조헌”를 선정하였다. 우리 역사교육 자료로의 활용 등을 고려하여 특별히 기획 제작한 시리즈 메달로 공사의 우수한 디자인과 조각기법을 적용하고, 예술적 작품성을 부여하였다. 공사 홈페이지 쇼핑몰(www.koreamint.com)과 화동양행(www.hwadong.com)에서 선착순으로 구입할 수 있고, 공사 쇼핑몰에서는 매월 50..
볼펜 추상화가 이일 볼펜 추상화가 이일 펜 추상화'로 유명한 재미화가 이일(55세)의 작품은 특이합니다. 놀랍게도 그의 그림들은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흔하게 쓰고 있는 볼펜으로 그려졌습니다. 일상 속에서 볼펜 한 자루는 잃어버려도 별 생각나지 않고, 여기 저기서 쉽게 얻을 수 있는 소모품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이일의 볼펜은 일상을 깊숙하게, 그리고 힘차게 파고 듭니다. 한 줄 한 줄 선이 갈라지고 합쳐서 형상이 되고, 면이 되어, 그렇게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어 나갑니다. 이러한 그의 그림은 검정 또는 남색 볼펜에서 흘러나오는 가느다란 선이 겹쳐져 마치 붓으로 칠한 듯한 깊은 맛과 역동성을 느끼게 합니다. 그가 볼펜 예술을 시작한 것은 1981년 브룩클린 미술관에서 열린 드로잉 전람회에 볼펜으로 그린 그림을 내면서부터입니다...
천경자作 천경자作 전생에 자신은 황후였다는 여자가 있습니다. 소녀 시절에 스스로 지어 붙인 “경자”라는 이름을 자신의 본명인 “천옥자” 앞에 두었지요. 그 뒤 그 이름은 인생의 아름다움과 슬픔, 외로움들을 신비롭게 표현할 줄 아는, 대한민국의 대표적 여류화가의 이름이 되었습니다. 천경자 화백은 어려서부터 독특한 감수성을 가지고 화가가 되기를 꿈꾸었습니다. 그녀가 자랄 당시 대부분의 여자는 소학교도 제대로 다닐 수 없었던 일제시대였습니다. 하지만 천 화백은 교육과 문화에 열린 가정환경 덕분에 광주에서 고등학교까지 마칠 수 있었지요. 고등학교를 마칠 때 즈음 집안에 혼담이 들어왔습니다. 하지만 그녀는 그림을 공부하고 싶었고 일본 유학을 결심했습니다. 물론 집안의 반대가 심각하였지요. 천 화백은 정신병자 흉내를 내면서..
옛 그림 감상법 옛 그림 감상법 일반인들이 동양화를 접하면서 가장 많이 본 그림이 산수화 일 것입니다. 중국 변방에서부터 한국, 일본 홋카이도 저 끝자락까지 어디를 가보아도 볼 수 있는 그림인 산수화는 동양화에서 가장 많이 그려진 그림일 것입니다. 우리나라 옛그림에서도 강서대묘의 산악(山岳)표현부터 조선후기 실경산수까지 이루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산수화가 그려졌습니다. 저도 몇 년전까지는 어릴적부터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늘 보아온 산수화의 영향 때문인지 동양화와 산수화를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 하고 있었습니다. 아름다운 경치를 화폭에 담아 기억하고자 하는 바람은 동.서양이 다르지 않으나 동양화에서 산수화의 비중은 서양화의 풍경화에 비할 바 아닙니다. 동양에서 산수, 자연은 단순한 풍경이 아니라 우리의 이상향과 정신..
한국화 근대 6대가는 누구인가?!! 한국화 근대 6대가는 누구인가?!! 한국화 근대 6대가(六大家)는 누구인가■ 알고나면 미술박사 - 가나아트 6대가가 탄생하게 된 것은 1971년 서울 태평로 신문회관의 화랑에서 열린"동양화 여섯분 전람회"에서 시작되었다. 이 여섯명의 한국화가는 1940년 조선미술관 창립 10주년 기념전이었던 "십대산수풍경화전(十大山水風景畵展)"에 참여했던 작가들 가운데 71년 생존해 있던 여섯 명의 작가 허백련, 김은호, 박승무, 변관식, 이상범, 노수현이다. 당시 이 전람회는 인사동에서도 열리게 되는데 이때 전람회명이 '동양화 6대가'로 이름이 바뀌면서 6대가라는 말이 통용된 것이다. 이들을 간단히 살펴보면, 의제 허백련(毅齊 許百鍊, 1891~1977)은 전통적인 남종화에 기반을 두고 한국적인 수묵화의 맥락을 정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