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사랑

(1827)
[미술여행](제1회)영화속 미술,미술가들 [미술여행](제1회)영화속 미술,미술가들 영화는 애당초 픽션을 바탕으로 출발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삶과 운명을 예술에 헌신했던 미술가, 화가들의 삶은 픽션처럼 우리의 일상과는 너무나도 멀리 떨어진 천상의 것이거나 지옥에서 천형을 치르는 그것과 닮아 있어 많은 영화의 소재가 되어왔다. 사실 예술가들의 삶은 천재의 그것이자 한편으로는 버림받은 운명의 이단아들의 삶이기도 했다. 그들의 존재하는 삶의 모습은 자신의 예술에 대한 광적인 집착에 이르면서 우리를 경악케 하기에 충분했다. 이러한 미술가들의 삶과 미술이야기를 소재로 한 영화의 역사는 깊다. 1930년대「렘브란트」(Harmenszoon van Rijn Rembrandt,1606-1669)를 시작으로, 많은 화가들의 이야기가 영화화 되었고 스크린을 통해 우..
색상명의 어원 및 해설 (한글.영문 표기법) 색상명의 어원 및 해설 (한글.영문 표기법) 색 이 름 어 원 및 해 설 (한글.영문 표기법) 그래스 그린Grass green 옛날부터 쓰인 색의 이름. 풀색. 같은 뜻의 한국말 "초록". 짙은 황록색(deep yellow green) 나일 블루Nile bile 나일강 물빛에서 온 말. 녹색 기미의 흐린색(dull greenish blue) 네이비 블루Navy Blue 영국 해군 수병의 제복에서 생긴 색이름. 한국의 감에 해당하나 흔히 일본음 대로 곤색이라고 잘못 쓰이고 있는 색. 어두운 청색(dark blue) 네이플즈 옐로우Naples yellow 안티몬황이라고도 하는 안료로 만든 물감의 이름. 중세에 베스비우스의 화산흙에서 만들어 나폴리에서 사용된 것으로 전해진다. 붉은 기미의 밝은 황색(light..
미술용어(ㄱ) 미술용어(ㄱ) 간다라 미술 Gandhara Art 파키스탄 북부 현재의 페샤와르 지방에 해당하는 , 예전의 간다라국을 중심으로 하여 기원 초부터 수세기 간 번영했던, 조각을 위주로 한 불교 미술. 동서 문화교류에 의해 서방적 요 소가 풍부해진 미술이다. 불상 중심의 미술을 전개하여 널리 인도. 중앙아시아. 중국의 불교 미술에 영향을 끼쳤다. 간다라를 중심으로 스와트, 탁실라 지방, 아프가니스탄 일부까지 분포되어 이들이 간다라 미술권을 형성하였다. 유적으로 불탑이라든지 절터가 남아 있다. 건축은 돌로 쌓았는데, 쌓 는 방식에 따라 시대적인 차이가 있으며 연대 추정에 도움이 된다. 불탑은 중인도의 오래 된 복발탑(覆鉢塔)형식을 일찍부터 이어 받았으나 점차로 기단을 몇 층씩 겹쳐서 높게 하는 방식으로 전개하였..
미술용어 [ㄴ] 미술용어 [ㄴ] 나가 Naga (범) 인도 고유의 신앙에서 형성된 뱀신 (蛇神). 일반적으로 용(龍)이라 번역된다. 여신(女神)은 나기라고 한다. 인도의 원주민 사이에서 널리 숭배되었고, 그 신앙은 아리아 인의 종교에도 받아들여졌으며,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 등에서도 여러 형태로 등장한다. 머리 뒤에는 용개(龍蓋)를 가지고 있으며 상반신은 인간, 하반신은 뱀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머리의 수는 나가의 경우 일곱 개 또는 다섯 개가 많고, 나기의 경우는 거의 한 개이다. 발 푸트나 산치 등 불교 미술의 가장 초기부터 표현된 예가 있고, 아잔타 제19굴의 용왕상은 그 백미이다. 불교에서 말하는 팔부(八部) 가운데 하나이다. 기원전 2세기의 바르후트 난순탑문(欄楯塔門) 이래 불교 조각에서 화려한 모습을 보이고..
미술용어[ㄷ] 미술용어[ㄷ] 다게르 (Louis Jacques Mande Daguerre,1787~1851) 프랑스의 화가·사진 발명가. 디오라마(반투명한 천에 풍경화를 그리고, 이에 반사 광선이나 투명 광선을 써서 변화시키 면서 보여주는 것)의 원화 화가로서, 카메라 암상자를쓰던 때에, 그 화상을 기계적으로 정착 시키려는 의도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1829년에같은 의도로 연구에 착수한 프랑스의 니에프스와 공동으로 연구하기로 10년의 계약 을 맺었고, 니에프스가 발명한 헬리오그래피를 다시 발전시켜, 1837년에 다게레오 타입(근판 사진)이라는 독자적인 사진 현상 방법을 발명하였다. 이것은 소금의 포화 용액에 의한현상법이며, 니에프스가 죽은 뒤에 발명된것이었다. 1 차대전을 치른 서구 유럽 사회는 가공스러운 살육과 파..
미술용어[ㄹ] 미술용어[ㄹ] 라이트 아트(light art) 1960년대에 일어난 미술 운동. 빛의 효과를 극적으로 살려 새로운 시각적인 이미지를 창출 해 내려는 의도에서 만들어진 작품의 총칭. 굳이 번역하면 빛의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실 로 조형 미술은 시각 예술이라는 점에서 생각하면 모두 빛과는 떼놓을 수 없는 관계를 가지 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라이트 아트라고 부르는 것은 광선의 물리적 기능이라든지 광원 자 체의 효과를 주로 다룬 작품을 가리킨다. 이런 점에서 라이트 아트를 파악하면, 그 경향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아양하다. 대체로 주요한 경향을 추려보면 ① 작품과 인간의 눈 상에 생기는 광학적인 효과를 노린것(소토, 바자렐리 등의 착가이나 착시 효과를 이용한 작품) ② 폰타나, 카마르고 등에 의해 추구되..
미술용어[ㅁ] 미술용어[ㅁ] 마그리트(Rene Magritte)-(1898-1967) 전혀 상관없은 사물을 병치시킴으로써 독특한 이미지를 드러내 보였다. 이후 '팝아트'에도 영향을 주었다. 마그리뜨는 1898년 벨기에 레신느 태생인 그는 브뤼셀의 미술아카데미에서 공부한 후, 회 화에 대한 여러 실험을 시도했다. 어린 소년시절에 본 무성영화에서 큰 감명을 받아 상상력 을 크게 키우게 되었다는 그는 1927년부터 1930년까지 프랑스에서 브르통과 가까이 지내면 서 초현실주의의 화풍을 성립해냈다. 또한 보들레르, 말라메르와 미국의 괴기소설작가 에드 가 알렌 포의 문학에서도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마그리뜨는 대상을 세밀히 표현하면서 동시에 관례적인 틀로부터 그 대상을 떼어내어 다른 곳으로 공간이동을 시킨다. 그는 대상을..
미술용어[ㅂ] 미술용어[ㅂ] 바니시(varnish) 수지를 휘발성 기름 또는 건성 기름에 용해한 것으로서, 유화의 용해유, 가필용, 마무리용의 세 종류로 구별할 수가 있다. ① 용해유로는 묘화용 바니시가 있다. 주요한 목적은 그림물감 에 감칠맛을 주어 화면에 물질적인 밀도를 나타내는 것인데, 이 바니시는 그림을 그릴 때 그림물감에 섞어서 사용한다. ②가필용 바니시는 그리는 도중에 그림의 일부가 건조에 의해 휘도를 잃고 제 페이스를 잃었을 경우, 페이스를 되찾아서 그려 나가기 위해 사용한다. 비베 르 및 뒤로제의 바니시가 유명하다. ③ 마무리용 바니시는 화면의 보존을 위해 사용한다. 또 한 윤기를 지우고, 광택을 가라앉히고 싶을 경우에는 광택을 지우는 바니시가 있다. 셀로니 스는 대표적인 것이며, 마무리용 바니시는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