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신제품정보

[터치폰][스마트폰]올해는 나 터치폰이 주인공!내년엔 스마트폰 내가 대세

[스마트폰][터치폰]올해는 나 터치폰이 주인공!내년엔 스마트폰 내가 대세

08~09년 휴대전화 인기 흐름도

올 한 해도 수많은 휴대전화가 나왔다 사라졌다.큰 인기를 끌기도 했지만 소리소문 없이 사라진 것들도 많다.올 한 해 인기를 끌었던 휴대전화의 흐름과 내년에는 어떤 제품이 인기를 얻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삼성·LG등 거의 모든 제조사서 출시

 

올해 가장 큰 흐름은 풀터치스크린폰의 인기를 꼽을 수 있다.기존의 키패드를 이용하는 방식이 아닌 화면을 손가락 등으로 만져 조작하는 방식이다.아무런 반응이 없어 작동 여부를 알 수 없었던 초기에 비해 지금은 소리나 진동 등을 통해 이용자가 작동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지난해부터 조금씩 선보이던 풀터치스크린폰은 올해는 절정에 달해 삼성전자의 햅틱시리즈,LG전자의 터치웹폰, 팬택계열의 프레스토,모토로라의 모토프리즘까지 에버의 KTFT를 제외한 모든 휴대전화 제조사에서 풀터치스크린 휴대전화를 출시했다.

●키패드 없애고 화면 커져 위젯 기능 유용

풀터치스크린이 인기를 끌면서 키패드가 없어진 만큼 화면이 커지고 보다 선명한 화면을 얻기 위해 액정표시장치(LCD) 대신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 OLED)를 사용한 휴대전화가 등장하기도 했다.풀터치스크린폰의 등장은 또 휴대전화의 이용자환경(UI) 변화를 가져왔다.삼성전자의 ‘햅틱UI’나 LG전자의 ‘헬로UI’가 대표적이다.여러번 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기 때문에 UI도 보다 간편하게 변화했다.UI의 대표적인 예가 최근 인기를 끌 수 있고 있는 ‘위젯’ 기능들이다.바탕화면에 날씨,증권,뉴스 등 자주 사용하는 아이콘을 이용자가 마음대로 배치해 바로 편리하게 사용하는 방식이다.이전에도 위젯 기능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위젯의 참맛을 즐기려면 풀터치스크린폰이 가장 유용하다.

컴퓨터에서 사용하던 인터넷 그대로 휴대전화에서 사용하는 풀브라우징 서비스도 올해 빼놓을 수 없다.LG텔레콤의 3세대(3G) 데이터서비스 오즈가 대표적이다.풀터치스크린폰으로 이전보다 큰 화면을 사용하게 되는 등 풀터치스크린폰과도 연결되어 있다.하지만 아직까지 유선인터넷에 익숙한 소비자들이 만족할 만한 인터넷 속도에 미치지 못하고 액티브X 등 여러가지 제약으로 인해 모든 인터넷 사이트와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는 것은 앞으로 고쳐야 할 점이다.

●휴대전화 + 컴퓨터 = 스마트폰

내년 휴대전화 업계의 관심사는 스마트폰이다.휴대전화가 단순한 전화기에서 벗어나 영화도 보고 음악도 듣고 풀브라우징 서비스를 통한 인터넷까지 하면서 휴대전화는 이제 이 모든 기능을 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가 되고 있다.이같은 흐름의 최첨단에 있는 것이 휴대전화와 컴퓨터가 결합된 ‘스마트폰’이다.

그동안 스마트폰은 인기가 없었다.가격은 비싸고 단말기가 두껍고 무거운 등 별다른 장점이 없었기 때문이다.또 데이터요금마저 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는 것이 별로 없었다.하지만 이같은 분위가 변화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텔레콤이 야심차게 내놓은 T옴니아가 대표적이다.T옴니아는 일 개통수 1000대 이상을 기록하는 등 판매가 순항 중이다.경기침체와 100만원대의 비싼 가격을 감안하면 엄청난 판매행진인 셈이다.T옴니아의 성공여부에 따라 국내에서도 본격적인 스마트폰 경쟁이 벌어질 것이다.

●야심작 ‘T옴니아´ 하루 개통수 1000대로 순항

내년 4월부터 국산 무선인터넷 플랫폼 ‘위피(WIPI)’를 의무적으로 휴대전화에 탑재하지 않아도 되는 것도 내년의 큰 변화 중 하나다.

내년 4월부터 위피 의무화는 사라지지만 이미 이동통신사들의 무선인터넷 서비스들이 위피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어 상당기간 동안 위피는 명맥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외산 단말기의 도입도 보다 쉬워지게 된다.하지만 이동통신사들이 휴대전화 단말기의 유통을 좌우하는 우리나라 현실에서는 외국산 단말기의 영향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 휴대전화 제조업체 관계자는 “이동통신사로서는 보조금 등 도입가격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면서 “때문에 본격적인 외국산 단말기 도입보다는 저가 단말기나 국내 제조업체와의 가격협상에서 유리할 수 있도록 제한적으로 도입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