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신제품정보/Business Aplication

GIS 도입효과

GIS 도입효과

GIS 도입의 예로 지역난방공사를 들 수 있다. 지역난방공사의 중요 시설물인 열수송관은 지하 매설물인 관계로 불의의 사고에 대한 대처능력이 미약해서, 누수나 고장발생 시 해당 부위를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주먹구구식 열수송관 관리로는 경영면에서 한계가 있어 지역난방공사는 1992년 GIS 시범 시스템 도입을 시작으로 해 1996년 시스템 개발을 완료했다.

그 결과, 체계적인 시설물 현황관리와 사고 유형별 자료 제공이 가능함은 물론 신속 정확한 상황파악을 통한 신뢰도 향상을 가져 왔다. 열배관 사고 및 시설물 주변사고 발생시 신속한 사고지사 검색 및 사고 조치정보도 가능해 졌다. 또한, 열배관 시설물에 대한 효율적인 자료 관리 및 분석, 검색이 용이해졌고, 설계자료의 표준화 및 도면관리의 효율화를 기반으로 보수공사 도면수정 및 보관도 용이해졌다.

더욱이 GIS 도입으로 열수송설비의 체계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해졌다. 즉 배관이력 및 누수관리, 배관압력 시뮬레이션, 배관계통 관리 및 계통별 부하 관리 등 더욱 과학적인 유지보수를 통해 안전사고 및 민원발생을 예방한다는 차원이 바로 기업 이미지는 물론 손익문제와도 직결된다는 점에 주목해 소기의 성과를 유발하고 있다. 아울러 기존 관리시스템을 활용해 개발지역의 경제성 검토를 위한 사전 시뮬레이션 작업이 가능해 경영효율도 극대화할 수 있다. 고장 또는 이상부위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어 교체예산을 미리 책정할 수 있다는 부수효과도 낳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GIS의 도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입 전 도 입 후
- 각종 도면과 지도 등이 종이로 관리되어 이
  를보관, 유지관리하는데 인력과 비용이 많이
  소요
- 여러 종류의 도면과 지도를 중첩시켜 부석하
  는 기능 수행이 어려움
- 도면과 지도에 나타나 있는 위치정보와 각종
  대장, 통계자료 등의 속성정보를 연계시켜
  볼 수 있는 기능 구현하기 어려움
- 각 부서에 가지고 있는 도면과 지도에 관한
  정보 공유가 어려워 자료를 중복적 생산
- 공간관련 계획 수립과 정책 결정시 신속하게
  지리정보 분석이 어려웠음
- 지도나 도면의 생산, 수정 및 유지관리에드
  는 시간과 비용절감
- GIS를 이용하면 각종 지도를 쉽게 확대,
  축소 기능
- 서로 다른 축적과 내용을 가진 지도나 도면
  의 중첩이 가능
- 인위적 자연재해(가스폭발사고, 지진, 홍수
  등)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조속한 복구 작
  업 수행
- 공간관련 각종 자료를 빠르게 분석할 수 있
  으며 분석결과를 빠르게 시각화가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