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사및교육/준학예사

준학예사 기출문제 - 박물관학(객)

준학예사 기출문제 - 박물관학(객)

박 물 관 학


【2000년】


1. 세계 최초의 원초적 형태의 박물관이며 Muses 여신(女神)들을 봉안한 신전(神殿)이란 의미를 가진 것은?


    ① Museum                 ② Musee 

    ③ Mouseion                ④ Museo-Mobile


2. 'Gallery'의 어원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프랑스혁명 이후 프랑스 아카데미 전람회가 열린곳에서 유래한다.

    ② 전람회가 루브르궁의 복도에서 개최되었기 때문에 생긴 말이다.

    ③ 상업적인 화랑의 출현과 함께 생겨났다.

    ④ 1667년 루브르궁에서 개최된 「대살롱」전람회와 관련이 있다.


3. 박물관 기능 중에서 가장 먼저 형성된 기능은 무엇인가?


    ① 연구   ② 보존   ③ 전시   ④ 교육


4. 'ICOM'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맞지 않는 사항은?


    ①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의 약자이다.

    ② 유네스코 산하의 비정부조직이며 박물관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③ 국내위원회를 구성하여야만 회원이 될 수 있다.

    ④ 박물관의 정보교환과 상호권익을 위한 역할을 하고 있다.


5. 국제박물관협의회(ICOM)의 정관(Statutes)에 서술된 박물관을 정의한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인류환경의 물질적인 증거를 수집, 보존, 연구, 전시

    ② 대중에게 개방되며 사회발전에 이바지

    ③ 고급인력의 양성과 지식 전파

    ④ 비영리적이며 항구적인 기관


6. 아래 미술관에 관련된 용어를 정의한 내용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미술관은 선사시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시기의 미술작품들을 소장할 수 있다.

    ② 미술관은 영어의 art museum 또는 fine art museum을 번역한 것이다.

    ③ 미술관은 전문적인 박물관에 속하는 미술박물관이다.

    ④ 미술관은 유물이 아닌 미술품을 취급하기 때문에 박물관에 포함되지 않는다.


7. 각종의 박람회는 그 결과로서 박물관의 설립을 불러왔다. 아래의 사항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수정궁대박람회와 Victoria & Albert Museum

    ② 시카고박람회와 시카고 자연사박물관

    ③ 오사카의 엑스포 70과 민족학 박물관

    ④ 대전의 과학박람회와 국립과학박물관


8. 설립․운영 주체에 따라 구분된 박물관의 종류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국립박물관    ② 사립박물관

    ③ 향토박물관    ④ 대학박물관


9. 아래에 열거한 박물관 중 분류기준이 나머지 세 개와 뚜렷하게 구분되는 하나는?


    ① 김치박물관    ② 민속박물관

    ③ 과학박물관    ④ 지역박물관


10. 종합박물관이란 무엇인가?


    ① 연면적이 1만㎡인 대규모 박물관

    ② 2개 이상 분야의 소장품을 함께 다루는 박물관

    ③ 여러나라의 유물을 다루는 박물관

    ④ 연령층에 관계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박물관


11. 박물관 전문직원의 윤리적 의무에 위배되는 사항은 무엇인가?


    ① 박물관에 고용된 사람들은 모든 활동에 있어서 고도의 객관적 기준에 일치하는 엄격한 윤리원칙에 부합하도록 정직하고 성실하게 행동해야만 한다.

    ② 박물관의 전문인력은 인턴이나 자원봉사자에게 그들의 전문적인 업무를 위임할 수 없다.

    ③ 박물관 전문인력은 개인적으로 유물 수집활동을 할 수 있다.

    ④ 박물관 전문인력은 영리를 목적으로 진위확인서나 감정증명서를 발부해서는 안된다.



12. 박물관 구성의 3대 요소가 아닌 것은?


    ① 박물관자료(博物館資料)    ② 건물(建物)

    ③ 수입원                   ④ 사람


13. 박물관의 주요 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판매    ② 연구    ③ 전시    ④ 교육


14. 박물관의 중요한 기능중의 하나는 일반에게 공개한다는 점이다. 아래 박물관중에서 1683년 개관되었고, 공식적인 일반공개의 효시가 된 것은?


    ① 대영박물관(British Museum)    ② 루브르박물관(Louvre Museum)

    ③ 에르미타쥬박물관(Hermitage Museum)    ④ 에쉬몰리안박물관(Ashmolean)


15. 박물관의 설립연대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


    ① 대영박물관-루브르박물관-메트로폴리탄박물관

    ② 루브르박물관-대영박물관-메트로폴리탄박물관

    ③ 루브르박물관-메트로폴리탄박물관-대영박물관

    ④ 대영박물관-메트로폴리탄박물관-루브르박물관


16.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개관된 박물관은 ?


    ① 국립과학관(國立科學館)

    ② 조선총독부박물관(朝鮮總督府博物館)

    ③ 국립민속박물관(國立民俗博物館)

    ④ 이왕가박물관(李王家博物館)


17. 국제박물관협의회(ICOM)가 정한 세계박물관의 날은 언제인가?


    ① 8월 15일    ② 5월 18일    ③ 9월 7일    ④ 12월 5일


18. ‘Docent'의 역할이나 기능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


    ① Registration을 담당하는 전문가이다.

    ② 보스톤미술관에서 시작된 활동이다.

    ③ 박물관 안내 담당자를 뜻한다.

    ④ 박물관 전시실 교육의 일선실무자를 말한다.

19. 박물관의 사회교육과 직접 관련이 없는 항목은 ?


    ① Gallery Talk    ② Conservation    ③ Study Tour    ④ Public Show Case


20. 전시물에 관한 지형적, 자연적 조건과 당시의 생활 양식에 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연출하는 전시 유형은 ?


    ① 비교전시(Comparative Exhibition)

    ② 분야별 체계적 전시(Systematic Exhibition)

    ③ 생태학적 전시(Ecological Exhibition)

    ④ 연대기적 전시(Chronological Exhibition)


21. 수채화, 판화, 직물 등의 자료에 적합한 ICOM의 권장 조도는 ?


    ① 150 lux     ② 200 lux     ③ 100 lux     ④ 50 lux 이하


22. 박물관에서 이루어지는 전시활동이 아닌 것은 ?


    ① 상설전시    ② 특별기획전시    ③ 환매용(換買用)    ④ 순회전시


23. 자연사박물관이나 민속박물관 등에서 자료를 축소 모형으로 제작하여 실제 상황처럼 연출해 내는 전시기법은 ?


    ① 세트    ② 디오라마    ③ 진열장    ④ 파노라마


24. 관람객이 전시실에서 느끼는 피로감을 덜어주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방안이 아닌 것은?


    ① 휴게공간이나 소파를 적절히 배치하다.

    ② 전시물 배치나 관람동선을 단조롭지 않게 한다.

    ③ 조명, 색상, 온습도 등 환경을 쾌적하게 한다.

    ④ 전시실에서는 간단한 식음료 섭취를 허용한다.


25. 박물관 자료관리의 목적이 아닌 것은 ?


    ① 수집보관을 위하여

    ② 조사연구를 위하여

    ③ 전시보급 활동을 위하여

    ④ 자료의 상속 증여를 위하여


26. 소장품의 소유권이 인정되는 수집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유증    ② 구입    ③ 기증    ④ 대여


27. 박물관 자료에 관한 다음의 내용 중 옳은 것을 고르시오


    ① 일단 박물관이 수집한 소장품은 매년 1회 이상 전시해야 한다.

    ② 한번 수집한 소장품은 매각하거나 폐기할 수 없다.

    ③ 박물관의 수집활동은 박물관 직원이면 누구나 할 수 있다.

    ④ 소장품은 전시가 아닌 연구, 보존 용도로 수집될 수도 있다.


28. 박물관의 자료를 수집하는 합법적인 방법이 아닌 것은?


    ① 구입    ② 기증    ③ 압수    ④ 약탈


29. 박물관 자료의 분류방침에서 박물관의 기본적인 기능과 직접 관계가 없는 것은?


    ① 가격평가(價格評價)를 위한 분류

    ② 보존관리를 위한 분류

    ③ 전시연구(展示硏究)를 위한 분류

    ④ 조사연구(調査硏究)를 위한 분류


30. 역사, 고고학, 미술사 등 인문계 박물관에서 자료의 등록을 위하여 명칭을 설정할 때 기재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① 재료    ② 제작기법    ③ 형태    ④ 수량


31. 박물관 자료의 한 부분이 부서지거나 깨진 경우의 현상을 기록하는데 적절한 용어는?


    ① 결손(缺損)    ② 파손(破損)    ③ 수리(修理)    ④ 탈락(脫落)


32. 박물관을 둘러싼 환경분석에 있어서 스왓분석(SWOT analysis) 기법이 자주 사용된다. 스왓(SWOT)의 4가지 요소중에서 강점과 역점에 대한 분석은 아래 내용 중 어느 것에 해당되는가?


    ① 내부자원분석    ② 외부자원분석

    ③ 미시환경분석    ④ 거시환경분석


33. 박물관이 기대하는 마케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마케팅에 관한 각종 전략․전술을 기초로 박물관의 사용가능 자원 및 마케팅 전략요소를 결합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시너지 효과    ② 마케팅 믹스

    ③ 마케팅 활동    ④ 스피드 마케팅


34. 관광사업과 연계하여 박물관 소장품에 대한 상품화를 통해 부각될 수 있는 박물관의 기능을 무엇인가?


    ① 사회적 기능    ② 문화적 기능

    ③ 경제적 기능    ④ 정치적 기능


35. ‘Museum Acts of 1845'를 설명하였다. 해당사항이 아닌 것은?


    ① 세계 최초의 박물관법이다.

    ② 박물관이 시민교육기관이라는 사실을 법으로 인정하였다.

    ③ 박물관 자료를 국가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하도록 정하였다.

    ④ 공공의 비용으로 박물관의 건립 운영을 법으로 뒷바침하였다.


36. 박물관및미술관진흥법에 기술된 박물관의 고유사업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① 박물관 자료의 수집, 보존 관리 및 전시

    ② 박물관 자료에 대한 강연회, 학습회, 영사회, 연구회 등의 개최

    ③ 박물관 자료에 대한 각종 간행물의 제작 및 배포를 통한 수익 증대

    ④ 박물관 자료에 대한 전문적, 학술적인 조사 연구


37. 2000년 3월 4일에 개정된 박물관및미술관진흥법시행령에 따르면 등록한 박물관 또는 미술관은 필요한 경우 그 설립 목적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그 시설의 일부를 대관할 수 있다. 이 경우 대관일수에 관한 규정은?


    ① 연간 100일을 초과할 수 없다.

    ② 연간 120일을 초과할 수 없다.

    ③ 연간 개방일수의 3분의 1을 초과할 수 없다.

    ④ 연간 개방일수의 4분의 1을 초과할 수 없다.


38. 우리 나라의 박물관및미술관진흥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박물관 등록에 필요한 구비서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① 소장품 자료목록         ② 시설명세서

    ③ 관람료 및 자료이용료    ④ 중장기 발전계획서


39. 박물관의 재정원(財政源)이 될 수 없는 것은 ?


    ① 박물관 기금(博物館 基金)    ② 정부나 공공기관의 원조

    ③ 단체교부금                ④ 박물관 직원의 상조회


40. 비영리법인으로 운영되는 박물관에서는 이사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성공적인 이사회 운영이 박물관 경영의 효율과 성패를 좌우하기 때문이다. 아래 열거한 내용중 이사회가 맡는 1차적인 책임범위가 아닌 것은?


    ① 정책 결정과 기획

    ② 재무 안정성의 확보

    ③ 직원 및 자원봉사자의 고용

    ④ 설립취지와 경영목표 결정


41. 1973년 미국박물관협회(AAM)의 박물관연구교과과정위원회에서 제시한 박물관의 13가지 전문직종에 해당되지 아니한 것은?


    ① 영선관(Superintendent)

    ② 사무장(Business Manager)

    ③ 기록보존담당자(Archivist)

    ④ 사서(Librarian)


42. 박물관 운영의 기본적 구성 요원이 아닌 것은 ?


    ① Curator        ② Volunteer

    ③ Conservator    ④ Registrar


43. 박물관 보존전문가의 직무가 아닌 것은?


    ① 소장품들의 재질 및 보존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② 전시의 주제에 맞는 소장품을 선정한다.

    ③ 유물의 손상을 막기 위해 평소 전시장과 수장고 환경을 점검한다.

    ④ 손상된 유물을 원래의 상태로 수리, 복원한다.


44. 아래에 열거된 내용 중에서 박물관 자료의 훼손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


    ① 전자파    ② 신축건물의 콘크리크

    ③ 병충해    ④ 조명


45. 유물의 보존에 대해 올바르게 기술한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유물보존에 가장 중요한 것은 유물 자체에 처방을 가하는 것이 아니라 유물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온도,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② 유물을 보관하는 전시장이나 수장고의 재질은 유물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③ 보존담당자가 전시물의 상태를 잘 관찰할 수 있도록 전시실내의 조도는 가능한 한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④ 전시장에는 해충이나 공해의 침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주 열어 놓는 것이 좋다.


46. 유물을 보관하는 수장고에 대해 틀린 내용을 고르시오.


    ① 수장고는 되도록 지하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② 수장고의 조명은 되도록 어둡게 하는 것이 좋다.

    ③ 수장고에는 관계자 외에 입장이 통제되어야 한다.

    ④ 수장고의 자료들은 찾아보기 편하게 정돈되어 있어야 한다.


47. 박물관 분야에서 설정하고 있는 상대습도의 개념은 무엇인가?


    ① 포화습도에 비교한 현재습도

    ② 박물관 외부습도와 비교한 박물관 내부습도

    ③ 유물이 보유한 습도

    ④ 연평균 습도에 비교한 현재습도


48. 박물관 건물에서 필수적인 안전시설이 아닌 것은?


    ① 내진시설

    ② 내화시설

    ③ 도난방지를 위한 시설

    ④ 출입을 편하게 하기 위한 시설


49. 박물관의 건물을 위한 위치선정에 기준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자연환경(自然環境)

    ② 투자가치(投資價値)

    ③ 교통사정(交通事情)

    ④ 확장가능성(擴張可能性)


50. 박물관 건물의 구성요소(構成要素)를 열거하였다. 필요공간이 아닌 것은?


    ① 보존관리를 위한 공간

    ② 연구조사를 위한 공간

    ③ 전시, 보급교육을 위한 공간

    ④ 장엄하기 위한 공간



【2001년】



1. 아래의 해외박물관 중 한국실이 설치되지 않은 곳은?


    ① 폴 게티미술관            ② 메트로폴리탄미술관 

    ③ 기메미술관               ④ 멕시코문화박물관


2. 박물관을 건립할 때 선결문제이고 가장 핵심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① 박물관 성격과 기능       ② 박물관의 외관 

    ③ 박물관의 규모            ④ 박물관 건축재료


3. 제20회 ICOM총회는 언제 어디서 개최될 예정인가?


    ① 2002년 바르셀로나        ② 2003년 런던

    ③ 2004년 서울              ④ 2005년 코펜하겐


4. ‘박물관의 역할은 단지 유리공간 안에 소장품을 수집하여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대중이 소장품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전시를 기획하고, 이와 관련된 정보와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이는 박물관 어떠한 기능을 강조하는 것인가?


    ① 사회적 기능   ② 문화적 기능   ③ 경제적 기능   ④ 정치적 기능


5. 박물관에 관련된 학문중에서 박물관의 환경과 시설물 운영을 주 대상으로 기술적이고 실용적인 측면을 연구하는 분야는?


    ① Museology                  ② Museography  

    ③ Museum management      ④ Arts administration


6. 박물관은 공익적인 목적을 우선으로 하는 공공기관으로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박물관이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기능과 역할 중 본연의 취지에 어긋나는 것은?


    ① 물품을 수집, 보존, 연구하며 전시 등을 통한 해석

    ② 일반대중에게 위락과 즐거움을 주는 역할

    ③ 매점, 식당 등 상업성을 띤 영리목적의 사업 다각화

    ④ 일반을 상대로 하는 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7. 박물관의 종류를 분류하는데 몇 가지의 기준이 있다.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① 설립자                ② 전시내용

    ③ 전시장소              ④ 전시하는 사람


8. 현대의 박물관, 미술관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이 아닌 것은?


    ① 프로그램, 소장품 증가에 따른 운영비용 상승

    ② 박물관 관람객 감소

    ③ 정부, 공공기관으로부터 지원금 삭감 혹은 증가정체

    ④ 다른 여흥 수단과의 경쟁


9. 성북동 선잠단에 세운 국내 사립미술관의 효시는 무엇인가?


    ① 호암미술관  ② 간송미술관  ③ 월전미술관  ④ 금호미술관


10. 박물관이나 미술관은 종래 일부 학자 또는 전문가 개인 연구기관으로서의 구실이나, 또는 도시미관을 위한 건물 정도의 기능으로부터 한 단계 발전하여 일반 대중의 지식을 개발하고 시민교육기관(Peoples University)이라는 위치를 갖게된 계기는?


    ① 1793년 파리 국민회의 결의에 따라 Louvre궁을 중앙미술관으로 공개

    ② 1830년 독일 Wilhelm 2세의 베를린 고대박물관(Altes Museum)완성

    ③ 1845년 영국의회의 박물관령(Museum Acts of 1845) 공포

    ④ 1851년 런던의 수정궁 대박람회 개최


11. 아래는 박물관의 발전과 그 근대화에 기여한 역사적 사실을 나열하였다. 가장 관련이 없는 사항은?


    ① 문예부흥(文藝復興)            ② 실크로드(Silk Road)

    ③ 산업박람회(産業博覽會)        ④ 아메리카대륙 발견


12. 기원전 3세기경 이집트에 세워졌던 문예를 관장하는 아홉 여신들에게 헌정되었던 사원으로부터 유래 되었으며, 박물관의 기원으로 알려지고 있는 이 장소의 정확한 이름은?


    ① Mouseion of Alexandria       ② Muses of Temple  

    ③ Pinacotheca                   ④ Museion


13. 아래의 학교교육에 비하여 박물관 교육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서술한 것중 타당하지 않은 것은?


    ① 프로그램 참가자의 자발적인 동기로 교육참여

    ② 지적능력에 따른 교과별 커리큘럼이 없음

    ③ 흥미 혹은 관심분야를 유도

    ④ 다양한 교육 요원 확보



14. 박물관의 자료를 기능별로 분류해 볼 때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자료로서, 전시업무가 원활하게 진행되는 박물관일수록 다양하고 풍부하게 구비해 놓고, 많은 사람들이 전시품을 쉽게 이해하는데 필요한 자료는 어느 것인가?

  

    ① 교육 및 홍보자료    ② 보관자료    ③ 연구자료    ④ 참고자료  


15. 전시회를 개발하는 과정은 개념단계로부터 마지막 평가단계까지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나중에 전시회의 성공여부를 가늠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관람객조사, 관람전후의 설문조사, 비공식적인 관람객 관찰 등 평가를 위한 자료를 준비하는 과정은 어떤 단계인가?


    ① 개념단계      ② 개발단계      ③ 기능단계     ④ 평가단계


16. 보여 주고자 하는 주제를 시간적․공간적으로 집약시켜 입체감과 현장감을 극대화 시키는 전시기법으로서, 대부분이 반원형 공간으로 되어 있으며, 공간구성은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안쪽 벽면의 배경그림, 전시주제 주변의 현장에서 채집하거나 인공적으로 만든 소도구를 배치한 전경, 전시공간 중앙에 전시의 중심이 되는 오브제를 설치하는 이 기법의 명칭은?


    ① 크로마 칼라    ② 디오라마     ③ 노출전시    ④ 파노라마


17. 박물관 전시실에서 느끼는 정신적 포만감과 육체적인 피곤함을 ‘박물관 피로’라고 한다. 이 피로를 경감하기 위한 방안이 아닌 것은?


    ① 전시공간의 구획을 적절히 나눈다.

    ② 곳곳에 휴게시설과 휴식공간을 마련한다.

    ③ 전시실의 색채와 조명을 과학적으로 조치한다.

    ④ 전시품을 한 장소에 많이 나열한다.


18. 미술관(미술박물관) 전시의 성격은 다른 박물관 전시에 비하여 지적인 이해도를 높이는 것보다 감상을 통하여 감성을 연마하고 정서를 함양하는 측면이 더 강하고 할 수 있다.  미술관 전시가 그 대표적인 유형이라고 볼 수 있는 전시의 종류는?


    ① 제시형 전시   ② 설명형 전시   ③ 교육형 전시   ④ 참여형 전시


19. 전시는 인류역사와 환경의 물질적인 증거에 관한 정보, 사고, 감정을 시각매체를 통하여 일반인에게 전달하는 의사소통 방법이다.  전시가 가지고 있는 장점 중에서 다른 해석 매체에 비하여 우수한 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전시는 동시에 많은 관람객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비용 대비 효율성이 높다.

    ② 전시는 실제 사물을 진열하기 때문에 관람객의 높은 관심과 참여를 유발할 수 있다.

    ③ 입장객은 자신의 관심수준과 관람속도에 따라 전시를 감상할 수 있다.

    ④ 전시회는 관람객들이 서로 만남을 통하여 상호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20. 미술관 이용자의 전시장 관람예절이 아닌 것은?


    ① 전시장에 들어가기 전에 휴대전화는 꺼놓고, 호출기는 진동으로 전환하여 조용하고 정숙한 관람분위기를 조성한다.

    ② 미술관은 여러 사람이 함께 작품을 감상하는 공공장소이기 때문에 타인의 감상에 방해되지 않도록 조용하고 정숙하게 관람한다.

    ③ 미술작품을 손으로 만지면 땀이나 염분에 의해 작품에 손상이 발생하기도하고 작품이 부러지거나 찢어지는 등 훼손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품에 손대지 않는다.

    ④ 전시장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것은 작품에 직접적으로 어떠한 손상도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허용된다


21. 박물관 자료수집의 한 방법으로서 개인 혹은 사립기관이 보유하던 소장품을 사회환원이라는 측면과 일반에게 공개되고 전문가가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며 영구히 다음 세대에 전수할 수 있는 방법은?


    ① 양도     ② 기증     ③ 기탁      ④ 반환


22. 박물관 유물 구입방법으로 올바르게 기술된 것은 어느 것인가?


    ① 박물관은 새로운 유물을 구입하기 위해 기존의 어떠한 소장품도 매각할 수 있다.

    ② 박물관은 소유권이나 출처에 관계없이, 예술적․학술적 가치가 있는 유물은 모두 구입이 가능하다.

    ③ 국내 박물관은 원칙적으로는 해외에서 유물을 구입할 수 없다.

    ④ 국․공립 박물관은 유물 구입의 목적, 기간, 유형, 절차와 같은 내용을 공식적으로 언론매체를 통하여 공고한다.


23. 박물관 자료의 보존관리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분류방법은?


    ① 물질별분류(物質別分類)     ② 출토지별분류(出土地別分類)

    ③ 수입별분류(受入別分類)     ④ 등급별분류(等級別分類)


24. 박물관 자료가 손상을 입었을 경우, 자료의 상태에 대하여 상황별 기재를 정확히 기록하여야 한다.  아래에 열거한 자료의 훼손상태를 정의한 내용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파손(破損) - 자료가 부서졌을 뿐 아니라, 그 파손마저 제대로 남아있지 않고 없을 경우

    ② 탈락(脫落) - 자료의 연결되는 어느 부분이 빠지고 없을 경우

    ③ 퇴색(退色) - 그림이나 옷감의 빛깔이 바래서 원래의 색조가 변했을 경우

    ④ 변색(變色) - 금속이나 도자기의 빛깔이 산화 등으로 인하여 색조가 바뀐  경우

25. 박물관이나 미술관 등 전시를 목적으로 하는 장소에서는 전시물의 고유색채 또는 재질, 형태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전시내용을 깊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른 공공장소에 비하여 조명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다음 열거한 내용중 조도를 가장 낮게 적용하여야 하는 박물관 자료는?

  

    ① 유화      ② 목기      ③ 도자기       ④ 가죽


26. 관람객에게 보여줄 목적으로 활용되는 박물관 정보 시스템이 아닌 것은?


    ① Interactive Theater    ② 검색형 전시 영상 단말 시스템

    ③ 영상라이브러리        ④ POS(Point of Sale) 방식


27. 박물관 이용자 조사방법 중 박물관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은?


    ① 개인인터뷰   ② 전화인터뷰   ③ 포커스 그룹 토의   ④ 설문조사


28. 박물관 마케팅 기획의 첫 걸음은 마케팅 조사이다. 마케팅 조사 결과에 따라 박물관의 정책과 노선이 좌우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 조사유형 중 박물관에서 주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닌 것은?


    ① 방문객 조사   ② 경쟁대상 조사   ③ 발전기금 조사   ④ 조직에 관한 조사


29. 박물관의 관람객 동원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다.  즉, 날씨, 지역경제, 경쟁이 되는 전시회 등은 박물관이 조정할 수 있는 요소가 아니다.  박물관의 노력으로 조정이 가능한 혼합마케팅(marketing mix)의 4요소가 아닌 것은?

  

    ① 가격     ② 장소     ③ 전략     ④ 프로그램 및 서비스


30. 우리나라의 대학박물관 정책에 대한 내용 중 사실이 아닌 것은?


    ① 1955년 <대학설치기준령>에 의해 모든 대학은 박물관을 설치하도록 권장하였고, 1967년에는 종합대학에서 박물관 설치를 의무화하도록 규정 하였다.

    ② 1982년에는 <대학설치기준령>에서 박물관의 설치조항을 삭제함으로써 대학의 박물관건립에 대한 의무가 사라졌다.

    ③ 1984년의 박물관법에서는 대학박물관은 문교부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박물관법에 적용대상에서 제외되었다.

    ④ 1998년 개정 공포된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 의해 종합대학에서의     박물관건립을 다시 의무화하고 있다.


31. 우리나라 <박물관및미술관진흥법시행령>이 정한 제1종 미술관의 등록요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수장고                    ② 온도 및 습도조절장치

    ③ 60점 이상의 미술관자료    ④ 100제곱미터 이상의 전시실


32. 다음 중 제2종 박물관 또는 미술관의 유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교육관     ② 동물원    ③ 민속촌    ④ 문화의 집


33. 한국의 박물관 정책과 거리가 먼 것은?


    ① 2011년까지 인구 9만명당 1관 수준을 위한 박물관 기반시설 확충

    ②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학예사자격제도를 박물관및미술관진흥법에 근거하여

       2000년 3월 시행령을 개정하여 처음으로 도입

    ③ 개인, 기업, 법인 등의 적극적인 박물관 설립 촉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부가가치세의 영세율 제도 마련

    ④ 박물관이 소수의 연구자들에게 국한되지 않고 국민들에게 사랑 받기 위해 서비스 정신을 고취시켜 고객 만족을 추구하는데 지원하며 시, 도, 한국관광공사 등과 협조하여 박물관의 관광 상품화 추진


34. 전쟁으로 인한 피해는 박물관 자료나 문화재에도 막대한 재해를 불러오고 있다. 이에 대한 예방 조치로 1954년 헤이그에서 통과된 유네스코 협약에서는 전쟁으로부터 각국의 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약정이 체결되었는데 그 내용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특별보호 아래 행해지는 운송에 대해 적대 행위를 금한다.

    ② 식별할 수 있는 표지를 부착하는데 백색바탕에 아래가 뾰족한 방패형태의 남색표지를 사용한다.

    ③ 보복행위로서 문화유산에 대한 위해 행위를 해서는 안된다.

    ④ 훼손, 약탈, 불법사용, 강제징발은 금하며, 전쟁이 끝나면 문화재를 원산국으로 반환한다.


35. 등록된 박물관, 미술관의 연간 개방일수와 1일 개방시간에 맞는 설명은?

    ① 연간 60일이상 개방하되 1일 개방시간은 6시간 이상

    ② 연간 90일이상 개방하되 1일 개방시간은 4시간 이상

    ③ 연간 120일이상 개방하되 1일 개방시간은 5시간 이상

    ④ 연간 150일이상 개방하되 1일 개방시간은 3시간 이상


36. 박물관과 같은 비영리기관에서 자원봉사제도를 운용하는 것은 여러 가지 의미에중요하다. 박물관 환경에 있어서 자원봉사제도의 중요성에 대한 배경으로서 타당하지 않는 것은?

  

    ① 무급 자원봉사자를 활용함으로써 예산절감

    ② 박물관과 지역사회의 유대관계 강화

    ③ 자원봉사자 본인의 전문분야에 대한 경험 및 업무능력 배양

    ④ 박물관이 마련하는 교육프로그램의 방향에 대한 조언


37. 오늘날 많은 박물관들이 회원제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다. 박물관의 역할이나 사명을 구현하는데 이 회원제 프로그램이 적지 않게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다내용 중에서 박물관 경영자의 입장에서 회원제를 운용하는 주요 목적이 아닌 것은?


    ① 특정단체(박물관)에 대한 소속감

    ② 박물관 활동 참여 인구 저변 확대

    ③ 박물관 후원 세력 양성

    ④ 박물관 재정 수입에 기여


38.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의 재정예산으로 운영되는 국공립박물관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박물관은 운영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노력하고 있다. 박물관의 일반적인 주요 수입원으로서 그 비중이 가장 낮은 것은?


    ① 입장료, 기념품 판매 및 시설 임대 수입

    ② 기금에 의한 금융수입 및 공공지원금

    ③ 회원제 운영에 따른 회비 수입

    ④ 연구 용역비


39. 박물관 경영활동을 위한 기본요소에서 컨텐츠 웨어(Contents ware)에 포함되는 것은 무엇인가?

   

    ① 전시, 교육 프로그램, 특별행사   ② 박물관의 조직구조

    ③ 박물관의 전문인력              ④ 박물관의 시설


40. 박물관의 주요 전문직종 중에서, 전시물을 설치하고 진열장, 조명, 동선, 칸막이 등을 설계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직종은?

   

    ① 학예사(Curator)                 ② 교육담당자(Educator)

    ③ 보존전문가(Consevator)          ④ 전시 디자이너(Exhibition designer)


41. 박물관 전문직의 윤리강령에 맞지 않은 사항은?


    ① 박물관의 성격에 맞는 전문분야의 학문적 바탕

    ② 박물관 운영을 위한 박물관학적 소양

    ③ 박물관을 통한 개인 소장품 취득

    ④ 박물관 업무에 대한 열정과 윤리의식


42. 박물관의 자료와 관련된 보험가입 절차 및 보험금 수령, 작품 매매계약, 판권과 제, 작품 대여계약 및 절차, 운송 및 관세 문제 등을 다루는 박물관 전문직은?

    ① Collection manager          ② Registrar

    ③ Curator                     ④ Conservator

43. 수장고 관리사항에서 올바르지 않게 기술된 것은?


    ① 수장고 환경은 유물에 어떠한 손상이나 피해를 주지 않아야 하므로 수장고 내부의 마감재질도 화학성분을 고려해서 선택한다.

    ② 수장고는 항상 청결을 유지하고 흡연이나 음식물의 반입을 금지한다.

    ③ 수장고에서는 빛의 물리적, 화학적 작용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조명을 켜두어도 된다.

    ④ 수장고의 이상적인 온도는 섭씨 18~22°, 상대습도는 45~65% 이지만 온․습도범위가 모든 유물에 일률적으로 적용되지 않으므로 최소한 온․습도의 변동폭을 줄이는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44.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2005년부터는 오존층 파괴 물질인 메칠브로마이드가 함유된 화학살충제 사용이 금지된다. 박물관 자료에 관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은?


    ① 고온 질산법   ② 저온 수소법   ③ 탈 산소법   ④ 알코올 저장법


45. 박물관의 자료를 본래의 상태, 디자인, 색채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이루어지며, 자료의 미학적, 역사적 고유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취하는 조치는 무엇인가?


    ① 수복(restoration)           ② 보존(conservation)

    ③ 보전(preservation)          ④ 수리(repair)


46. 고습 또는 저습 수장고로부터 자료를 반출입 할 경우 환경변화에 따른 자료의 쪼개짐, 비틀림, 탈색 등과 같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자료를 온․습도 차이에 적응시키기 위한 공간을 무엇이라고 부릅니까?


    ① 수조실     ② 순응실     ③ 훈증실      ④ 정리실


47. 수장고의 위치 설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① 가능한 한 집중 배치시키고, 전시부문 및 학예부문과 가능한한 근접시켜 유물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한다.

    ② 수직적으로 배치할 경우 고온․다습부분은 상층부에 저습부분은 하층부에 배치한다.

    ③ 수장고는 건물내에서 가장 안전하고 자연상태에서의 온․습도 환경이 가장 유리한 곳에 배치한다

    ④ 수장고를 지하실에 배치할 경우 확장의 여지가 없는 점과 습기, 결로의 문제에 대응하여야 한다.


48. 박물관의 방화체계는 박물관 자료의 특성에 따라 그 소화장비와 시스템의 적용이 다르다. 미술관 회화작품의 수장 및 전시공간에 적합치 않은 소화방법은?


    ① 스프링쿨러    ② 하론가스    ③ 이산화탄소    ④ NAF3


49. 박물관의 동선에 대한 설명중 일반적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동선은 건축가나 전시기획자의 의도에 따라 임의로 설계할 수 있다.

    ② 관람객이 완전히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선이 가장 좋다.

    ③ 대규모 박물관의 경우 단체 관람객용 입구를 별도로 두는 것이 좋다.

    ④ 내부직원의 동선과 관람객의 동선은 구분되는 것이 좋다.


50. 박물관 건축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인은 인적 주체인 이용자와 물적주체인 소장품이다. 이 두가지 구성요인을 조합하면 아래와 같은 박물관의 기본 공간구획을 네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중 박물관에 해당되는 시설과 맞지 않은 것은?


    ① 소장품이 있고 이용자도 있는 구역 - 전시실

    ② 소장품은 없고 이용자만 있는 구역 - 주차장

    ③ 소장품이 있고 이용자는 없는 구역 - 수장고

    ④ 소장품도 없고 이용자도 없는 구역 - 기계실



【2002년】

1. 박물관과 관련된 국제기구인 ICOM은 무엇의 약자인가?

    ① Institute of Contemporary Museums

    ②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③ International Committee of Museums

    ④ Independent Committee of Museums


2. 박물관 소장품을 처분하는 옳은 방법이 아닌 것은?


    ① 높은 가격을 제시한 외국 기관에 매각한다

    ② 다른 비영리 기관과 적절한 소장품으로 교환한다

    ③ 해당 소장품의 성격에 맞는 기관에 기증한다

    ④ 소장품 매각에서 발생한 수입은 새로운 소장품 구입에 사용한다


3. 박물관 교육이 학교 교육과 가장 다른 특징은?


    ① 교육자의 전문성               ② 실물자료를 통한 교육

    ③ 일정한 교육 목표 설정         ④ 교육 성과에 대한 평가


4. 박물관 수장고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수장고에는 귀중한 유물이 보관되어 있으므로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항상 조명을 켜놓는 것이 좋다

    ② 유물의 안전을 위하여 수장고 출입은 가능한 한 최소화하여 외부로부터의 유해한 요소가 수장고에 침투할 가능성을 줄여야 한다

    ③ 유물의 이동시 안전을 위하여 수장고는 전시실과 가급적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④ 수장고 출입인원은 복수로 하여 필요한 경우 상호 감시기능을 하고 유사시 관련상황에 대해 상호 증언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5. 박물관 운영이 활성화 될 때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아닌 것은?

    ① 고용증대 효과          ② 지역경제 활성화

    ③ 교육 평준화 효과       ④ 국가홍보 효과


6. 박물관및미술관진흥법에서 규정한 3급 정학예사의 자격 중 최소한의 학력과 경력의 조건으로 맞는 것은?


    ① 학사학위 취득 - 1년 경력      ② 고졸 - 3년 경력

    ③ 석사학위 취득 - 2년 경력      ④ 학사학위 취득 - 2년 경력


7. 큐레이터가 지녀야 할 자질로서 중요성이 가장 낮은 것은?


    ① 손상자료의 보존처리 능력              ② 학문적 연구 업적

    ③ 박물관 소장품에 관한 전문적인 식견    ④ 대학 수준의 강의 능력


8. 다음 중 잘못 기술된 것은?


    ① 우리나라에서 근대적인 의미의 박물관은 19세기부터 시작된다

    ② 삼국사기의 기록에 의하면 신라와 백제에 동, 식물원에 해당하는 시설이 있었다

    ③ 1909년 창경궁이 처음 일반에게 공개되어 동물원, 식물원과 함께 박물관의 역할을 한다

    ④ 1938년 우리나라 최초의 미술관인 이왕가 미술관이 발족되었다.


9. 미술품 저작권에 관하여 옳지 않게 설명한 것은?


    ① 미술품뿐 아니라 작품 제작기법과 아이디어도 저작권 보호 대상이다.

    ② 저작권 보호 대상은 독창적 창작물이어야 한다

    ③ 저작권은 특허권과 달리 신청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발생한다

    ④ 저작권자를 알 수 없을 때에는 문광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보상금을 공탁하거나 지불하고 저작권을 이용할 수 있다


10. 박물관의 아동 및  청소년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반드시 학교교육을 보조하는 교육위주의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② 실습과 체험 위주의 교육보다는 감상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③ 회원제를 통해서 일정한 인원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좋다

    ④ 학교의 교사들과 적극적으로 연계하여 양 기관의 모자라는 점을 상호 보완한다


11. 우리나라의 발굴된 매장 문화재의 법적 귀속기관은 어디인가?

    ① 발굴 시행 기관

    ② 발굴 지역의 지방자치기관

    ③ 국립중앙박물관

    ④ 문화재청


12. 빛에 민감한 전시물에 대하여 가장 바람직한 조도는?


    ① 100 lux      ② 300 lux      ③ 200 lux      ④ 50 lux


13. ICOM 미국박물관협회, 영국박물관협회 등에서 정의한 박물관의 성격으로 맞지 않은 것은?


    ① 비영리 기관이다                 ② 영구적인 기관이다

    ③ 전문적인 교육만을 위한 기관이다 ④ 대중을 위한 기관이다


14. 박물관 문화상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문화상품은 비영리 정신에 입각하여 원가판매하여야 한다

    ② 문화상품은 기능성보다는 예술성을 강조하여야 한다

    ③ 문화상품은 일반상품보다 교육적이며 부가가치가 높다

    ④ 문화상품은 해당 박물관의 소장품으로 국한하여야 한다


15. 우리나라 박물관의 역사와 관계가 먼 것은?


    ① 경주박물관은 경주신라회가 1913년 경주고적보존회로 정식 발족하고, 전시관을 개설하여 신라문물을 일반에게 공개함으로서 박물관의 기능이 시작되었고, 1926년에 당시총독부 박물관의 분관으로 편입되었다.

    ② 1946년 인천시립박물관이 개관되어 국립박물관의 전시품이 대여와 운영을 지원하기 시작한 것이 공공박물관의 시작이다.

    ③ 1907년에 기획된 이왕가박물관은 1909년 11월 창경원을 공개하면서 함께 개관하여 우리나라 박물관의 역사를 열었다.

    ④ 1946년 5월 문화재관리국 산하로 출발하였던 국립민속박물관은 1979년부터 국립중앙 박물관 산하로 소속이 바뀌어 운영되고 있다.


16. 2004년 10월 서울에서 열리는 ICOM총회의 주제는?


    ① 경제적. 사회적 도전에 직면한 박물관

    ② 박물관과 문화적 다양성

    ③ 무형문화유산과 박물관

    ④ 사회복지를 위한 박물관 운영


17. 박물관을 직접 찾아올 수 없는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박물관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① Lending Collection          ② Express moving

    ③ Suitcase Gallery            ④ Museomobil


18. 일반적으로 박물관의 주된 수입원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① 기금에 의한 금융 수입           ② 회원에 의한 회비수입

    ③ 교육프로그램의 수강료 징수      ④ 박물관 시설의 임대수입


19. 미국의 스미소니언박물관이 설립, 공개되는데 기여한 내용으로 맞는 것은?


    ① 미국 슬론경의 수집품을 핵심으로 유명한 Rosetta Stone을 비롯한 이집트의 수집품과 조오지3세의 도서관등이 합해져 설립

    ② 영국사람 James Smithson의 인류의 지식 증진과 보급을 목적으로 하는 Smithsonian Institution 설립의 제안으로 자신의 수집품과 막대한 유산의 기증으로 설립

    ③ 역대교황과 교황청의 수집품이 중심이 되어 설립

    ④ 고고학자 뉴턴의 발굴품과 왕실의 풍부한 소장품이 바탕이 되어 설립


20. 박물관 구성의 세가지 주요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사람       ② 기술       ③ 자료       ④ 건물


21. 박물관에서 수장고의 일반적인 온습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온도 15±2℃, 습도 40±5%     ② 온도 20±2℃, 습도 55±5%

    ③ 온도 23±3℃, 습도 65±10%    ④ 온도 25±5℃, 습도 40±10%


22. 박물관학의 연구 대상이 아닌 것은?

    ① 박물관의 역사와 개념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박물관 문화의 인문학적 기반을 다진다.

    ② 전시의 개념과 역사, 기법을 포함한 박물관과 미술관의 전문 운영 프로그램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③ 문화유산과 문화재 보존, 관리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박물관 유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④ 박물관의 유물에 대한 미술사적 접근을 중심으로 하는 학문이다.


23. 새로운 박물관의 유형으로서 생태박물관(eco-museum)에 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생태환경의 보존을 위한 자연물을 그대로 보존하는 방식이다.

    ② 생태박물관의 기원은 야외박물관에서 비롯한다.

    ③ 도자와 공예 등 민속품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박물관이다.

    ④ 지역주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박물관이다.


24. 국제박물관협의회(ICOM)가 정한 박물관에 대한 정의이다. 빈칸에 알맞는 단어를 고르시오.

    

인류와 인류환경의 물적 증거를 연구․(  )․향유할 목적으로, 이를  수집․  (  )․조사연구․상호교류․전시하는 (    )이며 항구적인 기관으로서, 대중에 개방되고 사회발전에 이바지한다.


    ① 추적 - 보존 - 역사적             ② 교육 - 보존 - 비영리적

    ③ 발굴 - 보존 - 비영리적           ④ 교육 - 복원 - 역사적


25. 국제박물관협의회(ICOM)은 어떤 국제기구 산하에 있는가?

    ① UNICEF       ② WTO       ③ UNESCO       ④ OECD


26. 최근 기업 및 개인은 문화재단을 설립하여 박물관․미술관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 문화재단을 통한 박물관․미술관 운영에 맞는 서술이 아닌 것은?


    ① 기본 자산(씨드 머니)을 확립하여 운영하므로 재정적인 어려움을 피할 수 있다.

    ② 문화재단 설립의 허가는 문화관광부에서 한다.

    ③ 박물관․미술관진흥법에 의거하여 문화재단 이사장은 박물관․미술관 관장을 겸임하여야 한다.

    ④ 문화재단을 통해 운영하면 박물관․미술관이 개인적인 이유로 폐쇄되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27. 박물관의 전문인력 중 작품의 수집, 취득, 대여, 포장, 목록작성, 소장품의 지속적인 관리, 보관, 통제를 담당하는 업무 및 정보검색 시스템 구축과 관련 법규 문서를 체계적으로 만들고 유지하는 직종은?


    ① 학예연구원(curator)               ② 기록담당자(registrar)

    ③ 보존처리사(conservator)           ④ 교육담당자(educator)


28. 전시 구성을 위해 원할한 관람동선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 중 타당하지 않은 것은?


    ① 작품의 배치와 관람자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관람동선을 만들어낼 수 있다.

    ② 관람객이 많을 경우를 생각하여 한 장소로 동선이 집중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③ 관람객의 혼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시내용이 다양하더라도 여러 전시실이 획일적이고 동일한 관람동선을 유지하도록 한다.

    ④ 자연스런 관람동선은 작품이해를 위하여 큰 도움을 준다.


29. 일반적인 박물관의 수집정책에 대하여 기술한 것 중 잘못된 내용은?


    ① 박물관은 유네스코 문화재의 불법 반출입 및 소유권 이전의 금지와 예방수단에 관한 협약을 인정하고 준수하여야 한다.

    ② 박물관은 유물관리를 위한 시설과 전문인력을 보유할 경우에만 유물을 수집할 수 있다.

    ③ 박물관은 합법적인 소유권을 갖지 못하는 유물이라도 유산적 가치를 지닌 경우 수집할 수 있다.

    ④ 박물관은 생태계 파괴를 초래하는 생물학적 표본물을 수집할 수 없다.


30. 현대미술관의 소장품 정책에 관련된 사항이 아닌 것은?


    ① 미술품의 경향과 성격을 감안하여 일관된 정책하에 소장품 구입을 결정한다.

    ② 미술시장의 동향을 파악하여 가격을 기준으로 작품의 질을 결정한다.

    ③ 소장품의 규모와 성격을 점검, 분류하여 그에 상응하는 시설을 구비한다.

    ④ 소장품 관리를 위해 기록과 문서화 작업을 행하여야 한다.


31. 다음 중 박물관 소장품의 ‘대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대여는 전시, 연구조사, 교육의 목적을 위해 명시된 일정기간 동안만 이루어진다.

    ② 박물관은 대여를 재계약하거나 취소할 수 있는 권리를 갖고있다.

    ③ 박물관에 개인 소장 유물을 위탁해 달라는 제안이나 요청은 가능한 한 수락한다.

    ④ 대여는 박물관 관장의 권한에 의해 결정되며 대여와 등록부서를 통해 효력이 발생한다.


32. 박물관․미술관에서 행하는 교육 프로그램으로써 의미가 없는 것은?


    ① 전시 대상 교육 프로그램은 전시 기간 동안 전시의 이해를 돕는 프로그램이다.

    ② 전시 외에 박물관 문화의 이해를 돕는 강좌와 세미나 등을 운영하여 관람객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③ 학교에서 행할 수 없는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박물관의 수익사업으로 활용한다.

    ④ 교육의 대상을 확대하여 박물관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33. 우리나라 박물관․미술관 조직의 개념과 역할 중 올바른 서술이 아닌 것은?

  

    ① 박물관은 수집, 보존, 조사, 연구, 교육, 전시 등에 이르는 기본적인 업무분장이 전문성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② 박물관의 다양한 업무는 상호 유리된 것이 아니라 여러 기능간의 연계를 통한 유기적 구조를 가져야 한다.

    ③ 국․공립 박물관의 경우 학예실과 사무국의 성격이 이원화되는 현실에서 사무국이 박물관 경영 및 운영 전반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   

    ④ 박물관의 성격과 방향에 따라 조직의 구성과 개념이 달라질 수 있다.


34. 박물관및미술관진흥법에 규정된 바, 박물관 설립ㆍ운영 주체에 따른 박물관․미술관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국립박물관   ② 지방자치박물관   ③ 사립박물관   ④ 대학박물관


35. 박물관 사업에 관한 내용 중 맞지 않은 부분이 있는 항목은 무엇인가?


    ① 박물관자료의 수집ㆍ관리ㆍ보존 및 전시 

    ② 박물관자료의 보존ㆍ전시등에 관한 기술적인 조사 연구

    ③ 문화재의 발굴, 골동품의 감정, 예술품의 경매, 미술품의 진열 

    ④ 박물관자료에 관한 복제와 각종 간행물의 제작 및 배포

36. 박물관및미술관진흥법의 적용을 받지 않은 문화시설은 무엇인가?


    ① 자료관, 사료관, 유물관

    ② 과학관, 기술관, 산업관

    ③ 전시관, 향토관, 교육관

    ④ 문서관, 기념관, 보존소


37. 박물관의 역할과 기능에 관련이 없는 사항은 무엇인가?


    ① 학습, 교육, 위락 공간으로서 역할

    ② 수집ㆍ보존ㆍ연구ㆍ교류ㆍ전시ㆍ교육기관으로서 기능

    ③ 비정규의 사회ㆍ문화ㆍ평생교육기관으로서 역할

    ④ 발굴ㆍ감정ㆍ평가ㆍ영리기관으로서 기능


38. 전시공간의 특성에 따른 전시방법이라고 할 수 없는 항목은 무엇인가?

  

    ① 상설전시       ② 실내전시       ③ 야외전시       ④ 옥외전시



39. 박물관 전시의 조명계획 중 적절한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전시물의 색상을 정확하게 보여 주기 위해서 자연광을 채광할 수 있도록 채광량을 조절할 수 광센서와 채광설비를 한다. 

    ② 박물관자료의 열화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자외선 차단 필터, 자외선 차단 램프, 자외선 차단 스프레이 페인트 등을 설치하거나 해당부위에 적용한다.

    ③ 박물관자료의 열화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쿨빔 램프를 사용하고, 전시물 표면에 집열되지 않도록 적외선 차단 필터와 분광판 등을 설치하거나 해당부위에 적용한다.

    ④ 전시실의 색온도를 높이기 위해서 백열등, 백색형광등, 삼파장형광등 등을 사용하고, 균제조명을 위해서 스포트라이트와 핀 스포트라이트를 설치한다.


40. 박물관 입지 선정을 위한 검토사항 중 타당하지 않은 것은?


    ① 모든 박물관은 교통이 편리한 도심에 입지를 선정해야 한다.

    ② 대학박물관은 가능하면 대학공동체와 지역공동체의 주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캠퍼스 입구에 입지를 선정해야 한다.

    ③ 국가를 대표하는 박물관은 가능하면 국내외 방문객들이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수도권내에 입지를 선정해야 한다.

    ④ 전문박물관은 가능하면 박물관의 핵심 소장품과 관계가 있는 장소에 입지를 선정하여야 한다.

   

41. 박물관 건축을 위한 장기 발전계획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항목은 무엇인가?


    ① 박물관 입지의 도시계획과 국토이용개발계획등을 검토하여 향후 교통체계에 편리를 도모하고,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② 교통이 편리하다면 부지가 협소하고, 저지대, 항만지역, 항공지역, 군사보호구역일지라도 박물관을 건립해야 한다.      

    ③ 박물관 건축은 장기 발전계획에 따라 지하구조와 지상건물의 증축 및 시설 확장에 따른 여유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야 한다.     

    ④ 박물관 건축은 구조가 튼튼하고, 기능이 충실하며, 건축물 자체의 미관이 뛰어나고, 유지ㆍ운영관리에 효율이 높아야 한다.



42.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 최근 경향과 관련이 없는 사항은 무엇인가?


    ①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장학사와 학부모가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학교에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여 평생교육 과정으로 이끌어 가고 있다.

    ② 박물관 교육은 목표고객(target client)을 상정하여 학력별, 연령별, 직업별, 그룹별(교사, 주부, 노인, 지체장애자 등) 프로그램을 만들어 시행함으로써 자율적인 학습형태로 바뀌고 있다.

    ③ 박물관 교육은 박물관 교사가 학교 교과과정, 또는 박물관 전시물, 문화유산 또는 자연유산 현장을 연계하여 실물을 통한 직관교육으로 참가자들이 참여하는 즐거움을 갖도록 하고 있다.

    ④ 박물관 교육은 박물관을 찾는 방문객과 지역사회의 주민들, 특히 교사와 학생, 가족과 연인들을 위한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만들어 시행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전통계승에 이바지하고 있다.


43. 박물관 교육 매체의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없는 사항은 무엇인가? 


    ① 전시실 또는 수장전시실에서 실물을 직접 볼 수 있게 함.

    ② 실물을 직접 보여 줄 수 없는 경우에 전시 보조물을 보여 주거나 직접 만져 볼 수 있게 함.

    ③ 실물 또는 전시 보조물을 보여 줄 수 없는 경우에 시청각 자료 또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통해서 간접 경험을 할 수 있게 함.

    ④ 학교 교과과정의 검증된 내용 이외에는 실물, 모형, 복제품, 모사품 등을 교육매체로 활용할 수 없음.


44. 박물관은 항구적 비영리 기관이지만 영리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분야와 조건이 있다. 박물관의 영리추구에 관련된 내용 중 바람직한 서술이 아닌 것은?


    ① 박물관의 수장품 가운데 학ㆍ예ㆍ기술적으로 우수한 자료와 정보를 산업화하여 얻은 수익을 박물관 사업에 재투자할 수 있다.      

    ② 박물관의 명품을 모형으로 만들거나 복제하거나 모사하여 박물관기념상품으로 개발하여 박물관 매점에서 판매한 수익을 박물관 활성화를 위해서 재투자할 수 있다.

    ③ 박물관 수장품을 슬라이드, 엽서, 도록으로 만들어 판매한 수익을 박물관 사업을 위해서 재투자할 수 있다.      

    ④ 박물관 편의시설에서 얻은 판매수익과 처분된 수장품(disposal collection) 매매수익을 박물관 직원들의 후생복지를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45. 박물관 마케팅에 관한 설명 중 틀린 항목은 무엇인가?


    ① 박물관 마케팅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지만 목표고객을 설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판촉을 통해서 재방문을 유도함으로서 경영 효율을 높이면서 산출을 증대할 수 있다.    

    ② 박물관 마케팅의 성공여부는 상품, 가격, 유통(장소), 판촉(홍보)을 포함한 4요소의 마케팅 믹스(marketing mix)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③ 박물관 마케팅의 성공을 위해서는 학예연구실이 독자적으로 박물관 사업을 편성하여 외부의 간섭없이 독창적으로 상품을 개발하고 불특정 다수에게 홍보를 해야 한다.

    ④ 박물관 마케팅의 성공은 고객을 만족시켜 주는 맞춤형 서비스와 적정 요금의 징수, 접근하기 좋은 곳에서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홍보가 필요하다.


46. 박물관 마케팅의 SWOT 분석에 관한 설명 중 틀린 항목은 무엇인가?


    ① SO 전략 : 외부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내부장점을 사용함.

    ② ST 전략 : 외부위협에 대처하기 위해서 내부약점을 최소화함.

    ③ WO 전략 : 내부약점을 극복함으로써 외부 기회를 활용함.

    ④ WT 전략 : 내부약점을 최소화함으로써 외부 위협에 대처함.


47. 박물관 전문인력에 관한 설명 중 틀린 항목은 무엇인가?

    ① 학예사는 박물관 운영의 중심이자 박물관의 유일한 전문인력이다. 

    ② 박물관에 종사하는 자로서 아이콤(ICOM)에서 제정한 <<박물관을 위한 윤리강령>> 지키는 사람은 박물관 전문인력이다.

    ③ 1996년에 미국의 글레이져와 제네토우는 박물관 전문직을 52종의 직책과 3부류로 직급을 세분하여 보고한 바 있다.   

    ④ 박물관 전문직은 30종의 정규직과 17종의 보조와 지원직, 5종의 기타 지원직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48. 박물관 재원 조성을 위한 방법 중 올바르지 않은 항목은 무엇인가?


    ① 박물관 회원을 모집하여 회비를 징수한다. 

    ② 사업가와 후원자를 초빙하여 박물관 사업에 대한 브리핑을 통해서 비젼을 제시하고, 기금(기부금과 후원금을 포함)을 조성한다.

    ③ 박물관의 설립취지와는 관련이 없더라도 박물관 사업에 재투자하기 위하여, 어떠한 상품이라도 판매하여 적극적으로 수익을 증대한다.

    ④ 박물관 사업의 다각화를 통해서 방문객의 기대와 욕구를 충족시키고, 새로운 체험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방문율을 높여서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49. 가상현실박물관의 설명과 관련이 없는 항목은 무엇인가?


    ① 가상현실박물관의 설립ㆍ운영은 문화관광부에 등록을 하여야 하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

    ② 가상현실박물관의 장점은 장소 제약이 없고, off-line의 실내 및 야외박물관과 함께 운영될 때 효율이 극대화 될 수 있다.

    ③ 가상현실박물관은 사이버박물관이라고도 하는데 이용자들에게 공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터넷 도메인 등록이 되어야 한다.

    ④ 가상현실박물관의 강점은 언제 어디서나 on-line으로 접속이 가능하고, 오늘날 PDA 또는 Mobile Phone으로도 접속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박물관이다.


50. 아래 사항 중 야외박물관(open air museum)의 효시인 것은?


    ① 미국의 윌리암스버그         ② 스웨덴의 스칸센

    ③ 영국의 스톤힌지             ④ 이태리의 콜로세움   


【2003년】


1.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박물관들은 숫적인 팽창과 늘어나는 관람객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대의 박물관, 미술관이 전반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장애물이 아닌 것은?

   ① 프로그램, 소장품 증가에 따른 운영비용 상승

   ② 박물관행 관람객 감소

   ③ 정부, 공공기관으로부터 지원금 삭감 혹은 증가정체

   ④ 다른 여흥 수단과의 경쟁


2. 박물관 연구의 신경향에 관한 설명이 잘못된 항목은 무엇인가?

   ① 박물관학은 박물관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사례를 주 대상으로 하는 이론 연구에 치중되어 있다.

   ② 박물관기술학은 박물관의 환경과 박물관 시설물 운영을 주 대상으로 기술과 방법론 연구에 치중되어 있다.

   ③ 박물관학과 박물관기술학은 독립된 분과학문으로서 서로 공동 연구를 필요 하는 상호보완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④ 박물관연구는 종합과학이기 때문에 독자적인 연구영역과 대상, 관점, 방법론을 갖출 수가 없다.


3. 박물관의 교류활동 내용과 거리가 먼 항목은 무엇인가?

   ① 박물관 교류활동은 인력, 자원, 정보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② 박물관 교류활동은 언제, 어디서나 반드시 수익성원칙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③ 박물관 교류활동의 주된 관심사항은 전시물 교류와 정보교류, 전문인력 상호간에 친선을 도모하고 교류하는 것이다.

   ④ 박물관의 교류활동은 평등과 존중, 호혜를 원칙으로 이루어진다.


4. 박물관의 종류는 분류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아래에 열거한 박물관중 분류기준이 나머지 세 개와 뚜렷하게 구분되는 한 가지는?

   ① 미술 박물관(미술관)             ② 민속 박물관

   ③ 과학 박물관                      ④ 공립 박물관


5. 박물관 역사와 관련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

   ① 우리나라에서 근대적 의미의 최초의 박물관은 이왕가박물관(李王家博物館)이고, 1938년 덕수궁내에 이왕가박물관에서 미술품만 주로 골라 덕수궁내에 개관한 것이 이왕가미술관(李王家美術館)이다.

   ② 중국은 1912년 북평(北平) 국자감에서 국립역사박물관을 창설한 것이 근대적 의미최초 박물관이고, 그 후 유물들이 몇 번 옮겨지다가 1946년 혁명이 발발하자, 장개석의 국민정부는 유물의 대부분을 타이완(臺灣)으로 옮겨 1965년 타이뻬이(臺北) 고궁박물원을 건립하였다.

   ③ 일본 나라(奈良)에 있는 동대사(東大寺)의 정창원(正倉院)도 박물관의 하나로 보아야 한다.

   ④ 1847년 설립된 스미소니언(Smithsonian)박물관은 미국의 최초의 근대 박물으로 현재까지 15개의 전문 부속박물관과 함께 학술․연구의 중추적 기능을 하고 있다.


6. 학문으로서의 박물관학이 박물관 실제 업무에 기여한다고 볼 수 없는 것은 ?

   ① 박물관 업무에 일반적 원칙을 제공

   ② ‘문화자원의 관리’에 관한 정부정책의 발전을 위한 기본개념 제공

   ③ 박물관 소장품의 감정평가의 기본개념 제공

   ④ 연구계획의 발전을 위한 이론적 근거의 틀을 제공


7. 국제박물관협의회(ICOM)에서 박물관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지 않은 것은 ?

   ① 식물원․동물원․수족관․사육장 등과 같은 생존하는 표본을 진열․전시하는 기

   ② 자연보호구역

   ③ 과학관․천문관

   ④ 기업의 홍보관


8. “박물관 직원은 소속 박물관이 수집한 물품과 관련이 있거나 그와 유사한 물품의(상업상의 이익을 목적한 매매행위 등) 어떠한 거래에서도 관여해서는 안 된다.” 라는 국제박물관협의회(ICOM)의 박물관 전문직 윤리는 직업적 행위로서 어떤 부분의 사명을 강조한 것인가?

   ① 지역사회에 대한 개인적 사명

   ② 대중에 대한 개인적 사명

   ③ 소장품에 대한 개인적 사명

   ④ 해당 박물관장에 대한 개인적 사명



9. 박물관 박람회와 관련하여 서로 관련성이 없는 것은?

   ① 미국독립 백주년 대박람회 ― 워싱톤박물관

   ② 영국 수정궁대박람회 ― South Kenshington

   ③ 시카고 대박람회 ― 시카고 자연사박물관

   ④ 오사카(大阪) 만국박람회 ― 국립민족학박물관


10. 박물관및미술관진흥법시행령 제10조(등록요건)에 의하면 박물관 및 미술관의 등록여러 가지 구비조건을 갖추어야 가능한 것으로 명시하고 있다. 제1종 박물관 및 미술관 유형 중에서 전문박물관 및 미술관의 등록요건이 아닌 것은?

   ① 수장고                                     ② 사무실 또는 연구실

   ③ 자료실․도서실․강당 중 1개 시설      ④ 보존처리시설


11. 박물관의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는 일반에게 공개한다는 점이다. 아래 박물관 중에서 1683년 개관됨으로써 박물관의 공식적인 일반공개의 효시가 된 것은?

   ① 대영 박물관(British Museum)

   ② 루브르 박물관(Louvre)

   ③ 에르미타쥬 박물관(Hermitage Museum)

   ④ 애쉬몰리안 박물관(Ashmolean)


12. 박물관과 관련한 법 제정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The Museum Acts of 1845

   ② The Public Libraries Acts of 1892

   ③ 1984년 처음 우리나라 박물관법 제정

   ④ The Centennial Exposition in Philadelphia, 1876년


13. 다음은 “박물관및미술관진흥법”에 명시되어 있는 학예사에 관한 항목들이다. 옳지 않은 항목은?

   ① 학예사는 국제박물관협의회의 윤리강령과 국제협약을 준수해야 한다.

   ② 학예사는 대통령령에 의해 선임된 박물관운영위원회의 윤리강령과 협약을 준수해야 한다.

   ③ 학예사는 1급정학예사, 2급정학예사, 3급정학예사 및 준학예사로 구분하고 자격제도의 시행방법, 절차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④ 박물관 및 미술관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박물관, 미술관 학예사를 둘 수 있다.


14. 학예사를 포함한 박물관 전문인력의 근무경력이 인정되는 박물관 또는 미술관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기관은?

   ① 국립박물관 또는 국립미술관

   ② 등록박물관 또는 미술관

   ③ 교육법 제81조의 규정에 의한 각급 학교에 설치, 운영하는 박물관 또는 미술관

   ④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문화센터 및 문화의 집


15. 박물관 자료의 취급과 포장에 관한 유의사항 중 적절하지 않은 항목은 무엇인가?

   ① 여러 개의 작은 박물관 자료를 운송할 때는 카트 안에 박물관 자료를 여러 층으로 포개 담은 후 뒤에서 끌고 간다.

   ② 오래된 동물 박제는 반드시 장갑, 마스크, 안대, 방호복을 반드시 착용하여 취급한다.

   ③ 박물관 자료는 항상 안정된 자세로 양손으로 취급하고, 무거운 박물관 자료는 반드시 공동작업을 한다.

   ④ 포장을 하기 전에 자료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 포장 후 안전상자에 담아서 보관 및 취급 유의사항을 표시한다.


16. 박물관의 자료 수집정책 규정이라 볼 수 없는 것은?

   ① 박물관은 불법적으로 사살하거나 생태학적으로 파괴하여 획득한 자료일지라도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가치가 인정될 때, 표본으로 얻을 수 있다.

   ② 박물관은 1970년 불법 수입, 수출, 소유권의 양도를 금지하는 유네스코(UNESCO) 협정을 수용하고 준수한다.

   ③ 문제의 유물에 정당한 자격을 부여할 수 없다면, 박물관은 어떤 유물도 입수할 수 없다.

   ④ 유물의 발굴이 최근에 고고학적인 유적지를 비과학적으로, 의도적으로 파괴했다는 믿을 만한 근거가 있다면 박물관은 어떤 유물도 입수할 수 없다.


17. 무분별한 표본 수집은 심각한 자연 훼손, 밀렵 및 불법 거래를 야기하기 때문에 자연사박물관에서 수집정책 수립은 매우 중요하고 필요한 규정이라 볼 수 있다. 다음 중 표본 수집 정책에 포함되는 내용에서 크게 관련이 없는 것은 ?

   ① 수집을 위한 표본 입수 방법

   ② 박물관의 목적과 박물관 수집 목표와의 부합성

   ③ 수집 대상에 대한 보증 과정

   ④ 수장고의 규모



18. 박물관 교육의 특성을 잘못 인식하고 있는 항목은 무엇인가?

   ① 박물관 교육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관심과 초점을 기울이고 있다.

   ② 박물관 교육은 반드시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된 교과과목을 중심으로 지식과 경험, 감성을 충족시켜 주는 교과서 중심으로 이끌어 가야 한다.

   ③ 박물관 교육은 실물을 통한 직관교육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자율적으로 참여하여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유행하고 있다.

   ④ 박물관 교육은 학교교육과 달리 연령과 지적 수준, 사회적 경험과 관계없이 시행할 수 있는 비정규교육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19.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유형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① 전시안내․전시실설명       ② 강연․강좌

   ③ 문화탐방․체험학습         ④ 미술품 감정․경매


20. 박물관의 주요기능중의 하나가 교육기능이다. 이에 따라 교육담당자는 전시마다 교육프로그램을 짜야 하는데 크게 관내교육과 관외교육으로 대분된다. 관내교육에 속하지 않는 프로그램은?

   ① 고적 답사 프로그램       ② 강연, 강좌, 세미나 등 강의 위주의 프로그램

   ③ 전시물 안내 프로그램     ④ 어린이 교육프로그램


21.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 중 사회교육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은?

   ① 관람객의 안전교육

   ② 움직이는 박물관

   ③ 교사연수 프로그램

   ④ 현장학습


22. 박물관 건축 시공에 참고사항으로 부적절한 항목은 무엇인가?

   ① 박물관 건축재료는 박물관 소장품의 특성보다도 미관, 내구성, 불연성 등을 충족시켜 주는 경제적인 것을 먼저 고려하여야 한다.

   ② 공조설비와 소방설비, 안전관리를 위한 시설은 전시실뿐만 아니라 수장고에도설치한다.

   ③ 유리건물의 경우, 방범을 위한 안전장치, 복사열 차폐장치, 청결을 위한 클리닝 장치, 환기를 위한 벤틸레이터 등을 설치한다.

   ④ 지진, 해일, 태풍, 침수 등의 자연재해와 재난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고, 유지 운영관리에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시공해야 한다.


23. 박물관을 건립하는데 필요한 권고사항으로 부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① 교통이 편리하다면 부지가 협소하고 공해가 있어도 영리추구를 위해서 도심에 박물관을 건립해야 한다.

   ② 박물관 건축은 반드시 자연재해와 재난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구조가 튼실하고, 유지ㆍ운영관리에 효용이 높아야 한다.

   ③ 박물관 건립 부지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증축 및 시설 확장에 따른 여유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야 한다.

   ④ 박물관 건축물은 미관상 독창적이면서 기능성이 뛰어난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가능하면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24. 박물관 시설관리 지침 가운데 옳지 않는 항목은 무엇인가 ?

   ① 박물관의 주요 시설물 내외부에는 안전을 위한 감지기와 잠금장치, 감시카메 등을 설치하여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② 박물관 시설관리 점검자는 2명이 1개조로 정기적인 순회점검과 현장확인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③ 박물관의 시설관리는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최소한 2교대제 근무를 원칙으로 한다.

   ④ 박물관장은 동반자가 없더라도 박물관의 수장고를 포함한 모든 공간에 언제든지 자유롭게 출입을 할 수 있다.


25. 박물관 건축과 관련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박물관 부지 선정은 자연환경․위생환경․교통환경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② 건축시에는 후일의 증축에 대비하여 설계하고 건설되어야 한다.

   ③ 박물관은 공원지구나 녹지지역에는 건립할 수 없음을 염두에 두고 부지 선정 작업을 해야 한다.

   ④ 박물관은 도시계획법 시행령에 의한 용도 구분상 문화시설에 해당한다.


26. 박물관 건립과정의 순서가 올바르게 진행된 순서는?

   ① 기본구상-기본이념-건축설계-입지분석

   ② 입지분석-건축설계-기본구상-기본이념

   ③ 입지분석-기본구상-건축설계-기본이념

   ④ 기본이념-기본구상-입지분석-건축설계



27. 박물관 이용자 분석에 관한 내용 가운데 적절하지 않는 항목은 무엇인가?

   ① 박물관 이용자 분석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표적 이용자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② 박물관 이용자는 방문빈도와 방문목적을 기준으로 적극적인 이용자와 일반적인 이용자, 소극적인 이용자로 대별해 볼 수 있다.

   ③ 박물관에서 어린이들이 가장 큰 잠재 이용자라고 할 수 있지만, 그들을 연령 지적 수준에 따라 그룹을 세분할 필요가 없다.

   ④ 박물관 이용자는 그룹의 특성에 따라 교사, 학생, 주부, 지체장애인 등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28. 잠재 관람객 분석을 위한 구성요소와 관계없는 항목은 무엇인가?

   ① 기초집단                  ② 열성집단

   ③ 관심집단                  ④ 비참여/무관심집단


29. 박물관 마케팅에 관한 내용 중 잘못된 항목은 무엇인가?

   ① 박물관 마케팅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지만 표적이용자를 설정하여 마케팅 믹스를 통해서 경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② 박물관 마케팅의 성공여부는 볼거리/즐길거리, 입장료/이용료, 전시장소/공간, 홍보/판촉의 기본적인 요소가 적절히 합리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③ 박물관 마케팅의 성공을 위해서는 학예연구실이 독자적으로 마케팅을 주도하기 보다 관련 부서의 전문가들이 공동작업을 통해서 다각도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④ 박물관 마케팅은 수익성원칙에 따른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마케팅 전담업체에 외주를 주어야 한다.


30. 다음 중 박물관의 홍보의 목표로서 부적절한 것은 ?

   ① 잠재적인 관람객들에게 박물관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정보를 배포한다

   ② 종사자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극적인 태도 박물관 수익사업을 진행시키도록 유도한다.

   ③ 후원자와 기부자에게 박물관 자체의 소장품에 대한 구입동기를 유발시킨다.

   ④ 박물관 이용자에게 박물관이 현재 진행 중인 활동사항에 대해 상기시킨다.


31. 박물관 경영에 관한 설명이 잘못된 항목은 무엇인가?

   ① 박물관 경영은 비영리의 항구적 사업이기 때문에 투입총량과 산출효과에 대한 총합 효율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

   ② 박물관 경영평가는 감독기관의 평가, 운영주체의 실행평가, 박물관이용자들의 만족도 평가 등을 통해서 수행되어야 한다.

   ③ 박물관 경영평가는 경제성원칙에 따라 효용극대화, 공익 극대화에 초점을 맞 총체적 관점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④ 박물관 경영의 평가는 투입 자본에 대한 금전적인 순수익이 얼마인가 평가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고 바람직하다.


32. 박물관의 자료 복원방법 중에서 평면적인 작품에 대하여 실시하며, 대개 축적은 1:1이소장자의 희망에 따라 원래의 자료와 구별하기 위하여 약간 크기를 바꿀 수도 있다.  제작은 손으로 할 수도 있고 기계적인 처리도 가능한 이 복원 자료의 명칭은?

   ① 모조      ② 모사       ③ 모형       ④ 레플리카(Replica)


33. 박물관에서는 전시회 등 프로그램에 관한 홍보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마케팅 도구를 사용한다.  박물관 마케팅 캠페인시 사용하는 주요 커뮤니케이션 전략(홍보도구)가 아닌 것은?

   ① 광고          ② 판매촉진    ③ PR(Public Relations)     ④ 멤버십


34. 소장품의 관리․감독, 목록작성, 일련번호매기기 그리고 소장품을 개별부서에 보관하는 업무 등의 책임을 맡는 전문직종은?

   ① 학예연구원(Curator)        ② 소장품 관리자(Collection manager)

   ③ 보존처리사(Conservator)    ④ 행정담당자(Administrator)


35. 박물관은 비영리기관으로서 세제상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다음 중 세제혜택의 대상이 아닌 것은?

   ① 박물관에 출연한 재산 상속세와 증여세

   ② 증권투자신탁의 분배금과 이자소득

   ③ 박물관 운영법인이 당해 사업에서 발생한 수익금을 고유목적사업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전액을 손비로 인정한다

   ④ 박물관을 3년 이상 운영하다가 다른 곳으로 이전하여 토지를 양도할 경우에는 양도소득세를 면제한다

36. 박물관 해석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항목은 무엇인가?

   ① 박물관 해석은 자료를 운영자의 입장에서 이미지를 형상화하고 메시지를 창출하여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소통방식이다.

   ② 박물관 해석은 연구를 바탕으로 전시를 하고, 전시를 통해서 교육을 하고 쌍 교류를 원칙으로 한다.

   ③ 박물관 해석의 방법은 운영자들이 관람객들에 사진과 그림, 영상을 통해서 즐거운 시간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④ 박물관 해석은 누구나 할 수 있기 때문에 정년퇴임한 교사가 가장 적격자라고 할 수 있다.


37. 전시디자인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큐레이터의 역할과 전시디자인의 역할을 구분할 때, 다음 중 큐레이터 보다 전시디자이너가 해야할 역할로 타당한 것은?

   ① 전시자료의 선정과 전체 전시자료를 유형별로 묶는 그룹핑 작업

   ② 전시자료에 대한 정보 전달 수준, 범위와 대상계층에 대한 정의

   ③ 교육적 목적을 위한 전시품 해설과 기타 필요한 관련정보의 작성

   ④ 전시자료의 시각적 특성과 적합한 디자인의 개념 설정


38. 20세기에 들면서 박물관 전시는 관람자들에게 의도한 주제를 전달하기 위한 새로운 전시기법에 대한 개념들이 제시되었다. 다음 중 이 개념들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① 공간의 벽, 바닥, 천장을 입체적으로 전시에 활용하는 시각적 전시 개념

   ② 설명판, 사진 등의 전시보조자료를 지지하는 틀의 가변성 개념

   ③ 실물전시자료를 중심으로 질서정연한 격자형식의 전시 개념

   ④ 자연채광보다는 임의대로 조절 가능한 인공조명을 중심으로 하는 조명연출 개념


39. 다음 중 전시기법에 따른 전시분류가 아닌 것은 ?

   ① 기획전시    ② 비교전시

   ③ 체험전시    ④ 실연(實演)․실험전시


40. 국립박물관의 역할과 기능에 관련이 없는 사항은 무엇인가?

   ① 문화재발굴ㆍ감정ㆍ평가ㆍ중개기관으로서 기능

   ② 국내 다른 박물관에 대한 지도 지원 및 업무협조

   ③ 국내 박물관 협력망의 구성 및 운영

   ④ 국내외 박물관자료의 체계적인 보존ㆍ관리

41. 국제박물관협회(ICOM)의 <전문직 윤리강령>과 관계없는 사항은 무엇인가?

   ① 박물관을 위한 윤리강령은 크게 <기관의 윤리>와 <전문직원의 규범>으로 구성되어 있다.

   ② 박물관 전문직원은 개인적으로 자연유산 또는 문화유산 거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참여해도 좋다.

   ③ 박물관을 위한 윤리강령 속에 “박물관 감독을 위한 기본원칙”과 “수장품의 처분” 등에 관한 규정을 담고 있다.

   ④ <전문직원의 규범> 속에 “대중에 대한 책임”, “동료와 전문직에 대한 직무” 등에 관한 규정을 담고 있다.


42. 박물관 교육의 방법론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① 박물관 교육은 실물을 통한 직관 교육이다.

   ② 박물관 교육은 배움(learning)보다도 지식 전달 및 가르침(teaching)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③ 박물관 교육은 자율ㆍ참여ㆍ체험을 바탕으로 구성되어 있다.

   ④ 박물관 교육은 전시물을 중심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교육 방법론을 적용할 수 있다.


43. 박물관의 관람객 동원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다.  즉, 날씨, 지역경제, 경쟁이 되는 전시회 등은 박물관이 조정할 수 있는 요소가 아니다.  박물관의 노력으로 조정이 가능한 혼합마케팅의 4요소가 아닌 것은?

   ① 가격       ② 유통(경로)        ③ 전략   ④ 프로그램 및 서비스


44. 박물관에서는 전시회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기 위하여 광고, 판촉, 공보 등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구사한다.  다음 예시한 방법 중에서 판매촉진에 해당되는 내용은?

   ① 초대권 배포              ② 뉴스레터 배포

   ③ 포스터 부착              ④ 친목단체 초청 전시 설명회


45. 박물관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입장료나 기념품 판매 등의 자체 수입만으로는 운영이 어렵다는 측면에서 기부금 수령 등 재원을 마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박물관에서 흔히 쓰고 있는 기부금 재원조성 방법이 아닌 것은?

   ① 연례 재원 조성           ② 가두 모금

   ③ 특별행사                  ④ 기금 조성 캠페인


46. 박물관의 운영상 재정을 지원하는데 있어서 개인이나 정부 또는 재단과는 달리 기업은 기부를 통하여 얻고자 하는 목적이 뚜렷하다.  기업의 박물관에 대한 기부금 수여 동기 중 일반적인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지역 유물의 굴토 및 발굴을 위하여

   ② 기업의 이미지와 명성을 높이기 위하여

   ③ 일반 대중에게 좋은 기업정신을 알리기 위하여

   ④ 직원들의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47. 박물관의 직제상 그 조직구성은 기능적인 측면에서 크게 세 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박물관 조직의 기본 골격을 구성하는 이 세가지 축에 해당되지 않는 기능은?

   ① 관리행정                  ② 학예연구

   ③ 운영 및 지원             ④ 홍보 및 마케팅


48. 이 접근법은 어떤 방향으로 움직임을 제한하는 물리적인 장애물을 설치하지 않고 미리 정해 놓은 경로대로 관람객들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기 위하여 시각 매체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전시장에 전후 맥락의 연속성을 유지시키면서 관람객들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접근방향을 유도하는 일관된 구성과 소화하기 쉬운 설명으로 정보를 제공하면서 관람객들에게 그때그때 경로를 알려주는 관람동선은?

   ① 체계적으로 조직되지 않는 관람동선(자유동선)

   ② 통제된 관람동선(강제동선)

   ③ 암시된 관람동선(복합동선)

   ④ 임의로 선택하는 관람동선(임의동선)


49. 이 자료는 박물관의 교육활동을 위한 자료로써, 전시업무가 원활하게 진행되는 박물관일수록 다양하고 풍부하게 구비해 놓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전시품을 쉽게 이해하는데 필요한 이 자료는 어느 것인가?

   ① 보급자료       ② 보관자료          ③ 연구자료     ④ 참고자료


50. 너무 커서 실내에 들어가지 않는 전시물과 풍화 등 자연재해에 견딜 수 있는 작품 등을 박물관의 야외 관리부지 내에 설치하는 전시 형태는?  (자연사 박물관의 식물재배 전시, 교통박물관의 증기기관차 전시 등이 그 좋은 예)

   ① 옥외전시              ② 야외전시(open air exhibition)

   ③ 노출전시              ④ 실연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