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전시/미술재테크

미술 재테크 '득과 실'

미술 재테크 '득과 실'
<기자의눈> 안순자 기자

최근 수십억을 호가하는 미술작품이 매스컴을 통해 알려지면서 주식과 부동산 투자 못지않게 '미술 재테크'가 화두로 떠올랐다.

그러나 지난 2007년은 신정아 학력위조 및 박수근 화백 위작논란 등으로 미술계를 포함한 문화예술 전반에 걸쳐 얼룩진 한해이기도 했다.

이렇듯 미술계는 호황과 비난의 온상이라는 공존의 시기를 맞게되면서 미술품 재테크에 있어서 전문성을 갖춰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에 초보 컬렉터들도 인터넷 경매보다 공신력있는 아트페어(art fair)나 갤러리를 통해 작품을 구입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

그러나 구입부터 보관, 그리고 작품을 되팔기까지 미술품 재테크는 생각보다 쉽지 않은 것이 문제다.

주식과 달리 가치척도 기준이 명확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위작을 속여서 사는 경우도 발생해 피해는 고스란히 그림을 산 구매자 몫이 된다.

초보자부터 전문 컬렉터에 이르기까지 작품을 보는 안목 차이가 큰 것 또한 미술 재테크 성공과 실패 원인이 된다.

미술 재테크 바람은 전국적으로 400여개에 달하는 화랑을 양산했고 작품 창작과 구매로 이어져 작가 발굴과 창작의욕 고취에 긍정적이기도 하지만 유명작가나 서양화에 편중돼 지역작가와 동양화는 무관심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물론 양적인 측면에서야 점점 증가하는 추세지만 상대적으로 신인·지역작가는 찾는 사람이 없어 뒷전으로 밀리기 일쑤다. 또 미술 재테크는 특정 트랜드를 선호하는 조류를 만들어 획일화된 작품만 만들어져 다양한 작품창작활동을 저해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관련 전문가들은 작가 스스로 개인전이나 공모전 입상을 통해 PR(홍보)하는 것만이 작품 가치를 높이는 것이라며 적극적인 활동을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미술대전 심사비리나 투명하지 않은 작품 유통 등은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과제로 남아 뚜렷한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미술 재테크는 예술이라는 특성상 단시간내에 일확천금을 얻을수 없는 것이 현실이므로 미술작품으로 재테크를 원한다면 끊임없이 작품을 접하면서 안목을 높이는 길만이 성공의 비결이라는게 한결같은 목소리다. /안순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