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나눔/이벤트정보

[세니큐]은행에 왜 손 소독기가 필요한가?

 

        은행에 왜 손 소독기가 필요한가?


*
순천향대 오계헌 교수 '지폐 속 세균 10종' 검출…

폐렴·장출혈 등 일으킬 수도

요람에서 무덤까지' 사람들은 돈과 함께 산다. 돌 잔칫상에 돈을 올려놓고, 관 속에 저승 노자라며 돈을 넣는 한국인은 특히 그 정도가 심한 축에 속한다. 돈만큼 더러운 것이 없다는 것은 말뿐이고 사람들은 모두 돈을 더 많이 가지려고 안달한다.

우리가 매일 주고받는 돈에서 다양한 세균이 많이 검출되었다. 그 중에는 적혈구를 파괴하는 용혈성 바실러스균처럼 매우 위험한 것도 있다. 위 왼쪽에서부터 스트렙토코커스 미티우스균,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균, 살모넬라 균, 에스체리시아 균종, 용혈성 바실러스균.

돈 한번 실컷 만져 봤으면 소원이 없겠다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순천향대 우체국에서 하루 5천만원이 넘는 예금을 다루는 강정수씨(45)는 부러운 사람일는지 모른다. 하지만 지폐 계수기에서 나오는 먼지 때문에 매일 아침 목이 컬컬하고 따끔따끔한 고통에 시달리는 강씨에게 돈은 그리 달가운 존재가 아니다.

학교 우체국을 자주 이용하며 강씨의 고충을 전해들은 생명과학부 오계헌 교수는 목이 아픈 것이 단순히 먼지 때문만은 아닐 것이라고 생각했다. 미생물학을 전공한 오교수는 지폐에 묻어 있을 세균에 주목했다. 지난해 6월부터 오교수는 실험실 조교들과 함께 서울·천안·온양 일대에서 1000원권 지폐를 모았다. 올해 5월까지 계절이 바뀔 때마다 지폐에서 세균을 검출해 그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수많은 사람의 손을 거치며 다양한 사연을 담고 있는 돈에서는 그만큼 다양한 세균이 검출되었다. 오교수가 지폐에서 검출한 미생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균(화농 균)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 균 △스트렙토코커스 미티우스 균(구강균)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균(구강균) △살모넬라 균 △시겔라 균 △용혈성 바실러스 균 △에스체리시아 균종(대장균) △수도모나스 균종(녹롱균) △칸디다 균종 등 10종이다.


 * 내성 강한 변종 많아 위험

세균 감염시키기? : 음식물과 돈이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 중 재래시장에서 수거한 지폐에서 발견한 용혈성 바실러스균은 적혈구를 파괴할 수 있는 무서운 세균이다. 바실러스균을 피에 떨어뜨릴 경우 적혈구를 파괴해서 투명한 구역(clear zone)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바실러스균은 식중독을 유발하는 균이어서 저장 식품에서 자주 발견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흔치 않지만 점차 발견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용혈성 바실러스균만큼 위험하지는 않지만 지폐에서 가장 흔하게 검출된 세균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균이다. 피부염이나 폐렴을 유발할 수 있는 이 균은 항생제가 많이 개발되어 있기는 하지만 내성이 강한 변종이 많아서 위험하다. 이 균은 특히 핏속에 들어가면 치명적일 수 있다.

살모넬라균은 지폐에서 여름철에 주로 발견된다. 식중독을 유발하는 이 균은 우리 몸속에 어느 정도 존재하기는 하지만 많을 경우 문제가 된다. 감염되면 설사가 나고 심하면 장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변종일 경우 더 위험하다.

에스체리시아 균종은 지폐에 사는 가장 흔한 세균이다. 이 균은 병원균이라기보다는 지표(指標) 세균이다. 이 세균이 어느 정도 존재하느냐를 보고 오염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균도 일정량이 넘으면 감염될 수 있다.

지폐에서 자주 발견되지는 않지만 위험한 세균으로는 수도모나스 균종을 꼽을 수 있다. 가래를 끓게 하고 폐렴을 유발하는 이 균은 특히 병원 내 감염을 일으키는 균으로 유명하다. 흔치 않은 세균이지만 항생제에 내성이 강해서 매우 위험하다.

하지만 이렇게 세균이 지폐에서 발견되었다고 해서 바로 감염되는 것은 아니다. 세균 한 마리가 병을 유발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수십∼수백 마리가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지만, 100만 마리 이상의 세균이 침입해야 감염되는 것이 보통이다. 정상적인 면역력을 가진 사람은 지폐에서 발견된 정도의 세균으로는 감염되지 않는다.             ⓒ 조남수

 * 시장에서 수거한 지폐에 세균 가장 많아

ⓒ 시사저널 윤무영

사람의 몸 안팎에는 정상 세균(normal flora)이 있어서 오히려 신체 신진대사를 촉진하기도 한다. 우리 몸은 많은 방어기제를 가지고 있다. 세균이 침입해도 위장과 소장에서 살균되고 핏속의 면역 세포가 감염을 막아준다. 그래서 세균이 바로 병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이 정도의 세균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순천향대학병원 정일권 교수는 "에이즈 환자나 암 환자처럼 면역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는 이러한 세균이 치명적일 수 있다. 또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나 노약자, 항생제 과다 복용자에게 세균이 침입할 경우 바로 발병할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오교수는 "돈은 유통이 빠르므로 직접 발병체가 되지 않더라도 세균 전파체 혹은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돈은 유통이 되면서 모이고 흩어지기 때문에 전파력 또한 무시할 수 없다. 또 세균은 바이러스에게 숙주를 제공하기 때문에 지폐의 바이러스 유무도 점검할 필요가 있다"라고 지적했다.

제대로 된 숙주를 만나면 세균은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기 때문에 지폐를 통해 옮겨진 세균이 바로 발병원이 될 수 있다. 즉 돈을 주고받은 뒤 손을 씻지 않고 바로 음식을 만들면 세균이 음식물로 옮겨져 문제가 될 수 있다.

세균이 가장 많이 검출된 지폐가 주로 어시장이나 재래시장에서 수거한 지폐였다는 것은 이런 문제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곳에서 수거한 지폐에는 식중독균을 비롯해서 세균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얼마 전 미국에서도 1달러 지폐에서 세균이 발견되어 문제가 된 적이 있다. 달러화에서 세균을 검출한 오하이오 주 라이트 패터슨 의학센터의 피터 엔더 박사는 "1달러짜리 지폐는 세균이 사람들 사이를 옮겨다니는 마법의 융단이 될 수 있다"라고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그런데 '보이지 않는 적'인 세균에 대처하는 방식이 미흡하기는 미국이나 한국이나 마찬가지다. 지폐에서 세균을 없애기 위해서는 발행 단계에서 항균 처리를 하거나 은행에 보관할 때 멸균 처리를 하면 되지만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국가로부터 제대로 된 '돈 세탁'이 여의치 않으니 일단 돈 보기를 돌같이 하는 수밖에 없을 것 같다. 개인적으로 손을 자주 씻는 것 외에는 이렇다 할 대안이 없다. 손을 씻어서 돈에 묻은 세균이 음식물 같은 곳으로 옮겨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현금 문화가 일반적인 한국에서는 이밖에도 주의할 점이 많다. 먼저 돌 잔칫상에서 아이를 병에 걸리게 할지도 모르는 돈은 이제 치우고, 관 속에서 시신의 부패를 촉진하는 돈을 넣는 것도 그만두어야 한다. 돼지 코에 세균범벅인 돈을 쑤셔 박는 것도, 고스톱을 치면서 밤새 세균덩어리 돈을 주거니 받거니 하는 것도 피해야 할 일이다.

시사저널



 * 손에 침 묻히기

지폐를 세다가 중간 중간에 침을 묻혀 넘기는 행동도 위험하다. 지폐 한 장에는 폐렴과 장출혈 등을 일으키는 세균이 6000여개나 있다.

은행원이나 카지노 직원들의 경우 목이 따갑거나 칼칼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돈에 묻은 세균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 은행자동화기계 ( ATM )


모니터(터치 스크린) 불특정 다수이용으로 손에있는 세균 전달 매체로서 세균온상

 * 사무실 전화기-컴퓨터의 세균 화장실 깔개보다 많다
‘사무실 책상은 세균의 천국.’

전화기, 컴퓨터 키보드, 마우스 등엔 화장실 변기의 깔개보다 세균이 많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애리조나대 연구팀은 생활주변의 세균을 조사한 결과 6.45cm²당 세균수는 △전화기 2만5127마리 △데스크톱 2만961마리 △컴퓨터 키보드 3295마리 △컴퓨터 마우스 1676마리 등으로 나타나 화장실 변기깔개 6.45cm²당 49마리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고 이 대학 찰스 거바 교수가 11일 발표했다.

사무실에 머무는 시간이 점점 길어지고 간식을 먹는 경우가 많아진 것도 세균의 번식에 한몫을 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낮 시간에 세균 수가 더 많아지며 특히 점심시간 직후에 세균이 가장 많아진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거바 교수는 “사무실에서 감기나 독감에 걸린 사람들이 책상 표면을 만지면 세균이 옮겨져 최고 72시간까지 살아있기 때문에 사무실은 세균 인큐베이터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고 CNN이 전했다. 그는 또 “책상을 감염되지 않은 걸레로 매일 닦는 경우 박테리아 숫자가 99%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뉴욕=홍권희특파원 konihong@donga.com



<보건> 세균, 뜻밖의 곳에 잠복

 [연합뉴스 2004-07-01 10:51]

 = 전화기.ATM.엘리베이터 버튼에 세균 득실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세균은 많은 사람들의 손이 닿는 곳에 가장 많이 잠복해 있으며 사람들은 대부분 이 사실을 모르고 있다고 "세균박사"라는 별명이 붙은 미국 애리조나 대학의 환경미생물학교수 찰스 거버 박사가 30일 밝혔다.

의학뉴스 전문 통신 헬스데이 뉴스 인터넷판에 따르면 거버 박사는 이날 보도 자료로 배포한 주택-사무실-공공장소에 대한 세균조사와 설문조사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사실을 밝혔다.

세균이 가장 많이 득실거리는 곳은 놀이시설, 전화 송수화기, 은행의 현금자동 입출금기(ATM), 엘리베이터 버튼 등 대부분 사람들이 그럴리 없다고 생각하는 뜻밖 의 곳이라고 거버 박사는 밝혔다.

사람들은 ATM보다는 공중화장실에, 부엌 싱크대보다는 화장실 변기나 쓰레기통 에 더 많은 세균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 반대이며 화장실 변기보다는 사무실 책상, 컴퓨터 키보드, 엘리베이터 버튼, 쇼핑카트 손잡이,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놀이시설에 세균이 더 많다는 사실도 모르고 있다고 거버 박사는 지적했다.

거버 박사는 그런데도 이처럼 세균이 득실거리는 곳을 만지고도 손을 씻는 사람 은 아주 적은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재채기나 기침을 한 후 손을 씻는다고 대답한 사람은 51%나 되었으나 악수한 후 손을 씻는 사람은 17%에 불과했다.

거버 박사의 조사결과를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세균 많은 곳

<주택> 세균이 가장 많은 곳 중 하나는 부엌 싱크대로 화장실보다 많다. 오염이 가장 심한 곳은 습기가 많은 곳이다. 행주, 화장실 변기, 쓰레기통, 냉장고, 화장실 문손잡이가 세균오염 상위그룹에 속한다.

<사무실> 전화 송수화기가 그 어떤 물건의 표면보다 세균이 많다. 화장실 변기 도 상대가 안 된다. 다음으로 컴퓨터 키보드, 엘리베이터 버튼에 세균이 많다.


<공공장소> 놀이시설,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쇼핑카트 손잡이, 피크닉 테이블, 어린이용 휴대용 변기가 세균밀집 장소.

  * ‘진짜 돈세탁’ 지폐소독기 개발

[문화일보 2003-11-19 12:51] 

 (::은행지점장서 사업가 변신한 오승현사장::) 전직 은행지점장이 실제로 ‘돈세탁’을 할 수 있는 지폐소독기를 최근 개발한 중소업체의 대표로 있어 화제다.

주인공은 기록물 보존처리업체인 ㈜한국보존테크의 오승현(54· 사진) 사장.

지난 71년 한일은행에 입행한 그는 2000년 한빛은행 수송동(서울 종로구) 지점장으로 있다 은행을 나와 한국기록관리협회 임원들과의 인연이 계기가 돼 이 사업을 시작했다.

인체에 무해한 천연 허브 향기로 세균·진균·바이러스 등 병원균을 소독하는 방법을 채택한 이 기계는 1만원권으로 1회당 최대 3억원까지 소독할 수 있으며 40분이 소요된다고 오 사장은 밝혔 다.

“은행에 있다보니 돈 냄새가 고약하더군요. 은행원들은 퇴근할 때 목이 칼칼한 것을 자주 느끼는데, 의학계의 보고에 따르면 지폐 한 장에 5만여 마리의 병원성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는 은행원들의 건강뿐 아니라 고객서비스 향상 차원에서도 이 기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사람의 심리가 깨끗한 돈은 잘 쓰지 않고 아끼려는 경향이 있는데 비해 지저분한 돈은 아무래도 함부로 얼른 써서 없애버리고 싶은 마음이 생기게 마련이지요.” “현재는 1대당 2000만원의 가격 때문인지 은행들이 구매를 꺼리 고 있지만 영업장에서 하루 종일 은은한 향기가 나고 병원균도 없어진다면 행원이나 고객 모두에게 환산할 수 없는 득이 될 것” 이라고 말한 그는 “연간 1000억원에 달하는 화폐 발행 비용도 상당 부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김윤림기자


자료제공 : 세니큐(http://www.saniq.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