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랑 (1827)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술교육]미술사-20세기 연표 미술사-20세기 연표 1901 반 고호 회고전 1902 툴루즈-로트렉 회고전 1903 마티수와 마르케, [베르린 분리파]전에서 세잔느, 고갱, 반 고호의 작품 전시 고갱 사망 1904 피카소, 세탁선으로 이주 [가을 미술전]에 세잔느 전시회 성공 1905 가을 미술전에서 야수파 전시회[에술]창간(모스크바) 예술에서의 형식 실험 유행(-917) 1906 세잔느 사망 흑인 미술 대두 가을 미술전에서 러시아 화가전 1907 피카소 앙데팡당전에서 야수파가 주목 1908 큐비즘 등장 칸바일러 화랑(파리) 브라크 전시회 1909 미래주의 등장 분리파 순회전, [미래주의]선언, 필리포 토마스, 마리네티 1910 칸딘스키, 최초의 추상 수채화 1911 뮌헨, [청기사]그룹 등장 베를린 [신분리파]전 1912 칸딘스키[.. [미술투자]작품에 담긴 작가의 의도를 꿰뚫어라 작품에 담긴 작가의 의도를 꿰뚫어라 [머니위크]미술품 투자와 감상법 우리의 전통적 화법(畵法)중에 기명절지(器皿折枝)란 말이 있다. 조선 후기부터 본격화된 정물화의 영역이다. 그림의 소재로는 선비들이 주로 사용하던 책장이나 문방구류, 고가구 등을 그리면서 거기에 길상적(吉祥的) 의미를 지닌 꽃이나 과일들을 첨가시켰다. 과거급제나 무병장수, 다산의 의미를 담아 장식용 가리개나 병풍으로 활용하였다. 당시의 조선이나 중국에서의 정물화는 부귀다복(富貴多福)을 기원하는 그림이 유행한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장승업의 기명절지화가 유명한데 조선 후기에 유행하였던 책가도(冊架圖)와 민화(民畵)로 그려진 책거리 그림을 자신만의 독특한 필치로 그려낸 화가이다. 서양에서의 정물화(Still Life)는 움직이.. 미술품 투자와 감상법 - 장사 덜 된 그림의 가능성을 봐라 장사 덜 된 그림의 가능성을 봐라 [머니위크]미술품 투자와 감상법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이는 말이나 단어에 대한 의미는 별로 궁금해 하지 않는다. 가끔 술 한 잔 기울이면서 ‘인생’이니 ‘삶’이니 ‘존재’니 하는 따위의 단어가 거론 될 뿐이다. 그렇다고 거기에 대한 명확한 해답이나 정답을 구하지도 않는다. 다만 ‘그럴 수 있지’로 이해하면서 그 말이 가진 의미에 대해 무감각하게 살아간다. 살아간다는 것과 함께하는 질문은 살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의문이나 이해를 강요하지 않듯이 ‘미술’이라는 것 역시 보통 명사로서 우리주변에 존재하고 있다. 보통으로 쓰고 있는 미술이란 단어는 1884년 한성순보에 처음 등장하였다. 이전에는 서화(書畵), 조각(石工), 공예(工藝)로 불리어 왔다. 정부 공식문서에는 1903년.. fcFiyboSvgu6e0M891e6FYbDxEz fcFiyboSvgu6e0M891e6FYbDxEz 미술장식품 공모 미술장식품 공모 미술장식품 공모공고 1. 목 적 - 문화예술진흥법 제9조(건축물에 대한 미술장식) 및 동법 시행령 제12조(건축물에 대한 미술장식), 제13조(미술장식의 설치절차·방법), 제14조(미술장식심의위원회) 및 제15조(미술장식의 철거·훼손시의 조치)에 의거 대한주택공사가 시행하는 건설 사업지구에 설치될 미술장식품을 공개 모집코자 함 2. 사업명 - 인천논현 2, 3블럭/김포장기 미술장식품 제작 및 설치공사 3. 공모개요 - 미술장식품의 종류 : 당해 지구의 자연·인문·사회환경 등 역사와 지명유래 등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요소를 활용하거나 주제를 선정하고 설치위치 등을 감안 단지를 특화할 수 있는 실용적 미술장식품 ※ 환경조형 예술물 : 조각·벽화·분수대·상징탑 등 - 사업비 및 공모수량 공모 .. [이색 직업인] "약하고 예민한 미술작품 치료하고 복원하는 의사죠" [이색 직업인] "약하고 예민한 미술작품 치료하고 복원하는 의사죠" 작품 보존수복 전문가 김겸 국립현대미술관 팀장 조상인 기자 ccsi@sed.co.kr 일본의 베스트셀러를 원작으로 한 영화 ‘냉정과 열정사이’에서 남자 주인공 준세이는 ‘컨서베이터(conservator)’가 되기 위해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공부를 하고 있었다. 생소한 이름의 직업인 컨서베이터를 우리말로 번역하면 ‘작품 보존수복전문가’. 즉 미술작품을 올바르게 보존하는 동시에 손상된 것을 수리하고 복원시키는 사람이다. 김겸 국립현대미술관 작품보존수복팀장은 “미술작품은 약하고 예민하게 태어난 아이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보존수복전문가는 작품을 치료하는 의사다”라고 자신의 일을 소개했다. 그는 요즘 2월말 전시개편을 앞두고 벽에 거.. 영화속 그림들의 숨겨진 비밀 영화속 그림들의 숨겨진 비밀 교과서에 등장하는 ‘명화’라는 이름의 그림들을 보기 위해 꼭 해외의 미술관에 가야 하는 건 아니다. 부터 복잡한 수수께끼로 악명이 높았던 에 이르기까지, 이름난 명화들을 거대한 스크린 안에서 만날 수 있다. 게다가 단순히 미적 즐거움만을 주는 것도 아니다. 그림들은 때로 영화 속 미스터리를 풀 수 있는 가장 큰 단서가 되어준다. 에 등장하는 얀 반 아이크의 그림이 감춘 비밀은 무엇일까? 김기덕 감독이 몇 년의 시간 차를 두고 만든 과 에 똑같은 에곤 실레의 가 등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림의 수수께끼는 이제 모두 풀렸다! 거울 속의 당신은 누구?! “눈에 보이는 것이 다는 아니야” 는 눈에 보이는 것을 믿을 수 있는지를 묻는다. 만일 거울 속의 당신이 당신과 다르게 움직인다.. 마케팅 용어 사전 마케팅 용어 사전 ● 가격 price :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제공 받은 사람이 그에 대한 반대급부로서 상대방에게 주는 유형적 및 무형적 가치의 총합. 대체로 화폐 액으로 표시되며 수강료, 임대료, 인지, 우표, 월급, 통행료, 수수료, 사례금 등의 명칭이 사용되기도 한다. ● 가격단계정책 price lining policy : 대체로 소매점에서 품목별로 정확한 가격을 구사하지 않고 모든 취급품목들을 몇 개의 가격 단계로만 구분하여 판매하는 정책. 특히 단 하나의 가격단계만을 가짐으로써 모든 품목을 동일한 가격에 판매하는 정책을 균일가격정책이라고 한다. ● 가격차별화 price discrimination :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두 개 이상의 (세분)시장에 대하여 다른 가격을 적.. 이전 1 ··· 205 206 207 208 209 210 211 ··· 2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