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사및교육/동양미술의 이해

천경자作

천경자作

전생에 자신은 황후였다는 여자가 있습니다.

소녀 시절에 스스로 지어 붙인 “경자”라는 이름을 자신의 본명인 “천옥자” 앞에 두었지요.

그 뒤 그 이름은 인생의 아름다움과 슬픔, 외로움들을 신비롭게 표현할 줄 아는,

대한민국의 대표적 여류화가의 이름이 되었습니다.

천경자 화백은 어려서부터 독특한 감수성을 가지고 화가가 되기를 꿈꾸었습니다.

그녀가 자랄 당시 대부분의 여자는 소학교도 제대로 다닐 수 없었던 일제시대였습니다.

하지만 천 화백은 교육과 문화에 열린 가정환경 덕분에 광주에서 고등학교까지 마칠 수 있었지요.

고등학교를 마칠 때 즈음 집안에 혼담이 들어왔습니다.

 하지만 그녀는 그림을 공부하고 싶었고 일본 유학을 결심했습니다.

물론 집안의 반대가 심각하였지요. 천 화백은 정신병자 흉내를 내면서까지 부모님께

 유학을 보내달라고 졸랐습니다.

미친듯이 웃다가, 울기도 하고, 중얼거리면서 집안을 돌아다녔지요.

결국 부모님은 허락하셨고, 그녀는 배를 타고 일본으로 떠날 수 있었습니다.

동경여자 미술학교를 졸업하고 돌아온 천 화백은 유학 중 만난 남편과 결혼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남편은 일찍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 후 다시 신문기자였던 두 번째 남편을 만났지만 곧 헤어졌습니다.

진주를 품은 조개처럼 쉽지 않았던 인생의 고개들이 그녀의 가슴 속에 쉽게

식지 않는 예술혼을 잉태한 것입니다.

“나물 캐러 갔던 동네 소녀가 허리띠인 줄 알고 꽃뱀을 집으려다가 물려 죽은 일이 있었어요.

무서우면서도 이상하게 마음 끌리는 그 장면이 어렸을 때부터 머리에 남아 언제가

그림으로 그리고 싶었지요.

그러나 내가 처음 그린 뱀은 꽃뱀이 아니라 한 뭉텅이의 푸른 독사였어요.”

인생의 실패와 좌절을 맛보고 그녀가 자신의 삶에 저항하기 위해 택한 소재가 뱀이었습니다.

 그녀는 전남여고 미술교사로 재직하면서 뱀에 대한 이미지를 탄생시켰습니다.

6.25로 인하여 부산으로 피난을 갔던 천 화백은 그 곳에서 자신이 그린 뱀 그림

전시회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은 ‘젊은 여자가 뱀을 그렸다’면서 신기해하였구요.

그것이 “천경자”라는 이름을 세상에 알리게 한 것입니다.

또한 그녀의 작품 속에서 일관되게 등장하는 이미지는 꽃과 여인입니다.

아마도 가장 일반적인 아름다움을 대변하는 것이 꽃과 여인이기 때문인 듯 합니다.

그녀의 작품 속에는 아름다움이 주로 보여지고 있지만,

그 아름다움은 외롭기도 하고 슬퍼보이기도 하지요.

고독의 미와 아픔의 성숙이 천경자의 예술을 다른 작품들과 다르게 만들고 있습니다.

그러던 1974년, 18년간 재직하던 홍익대 교수직을 버리고, 문득 천 화백은 아프리카로

떠났습니다.


그렇게 시작된 여행은 남태평양과 유럽, 남아메리카까지 계속되었지요.

그곳을 돌아보고 그 여행에서 느낀 선명한 색감과 원시적 인상을 자신의 작품 세계에

반영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베트남 전쟁에서 보여졌던 안타까운 인간의 또 다른 모습들을 아름답고 평화로운 자연에 비추어서 그림으로 남기기도 하였습니다.

얼마 전이었던 1991년 천 화백은 힘든 일을 겪기도 했습니다.

국립 현대 미술관 소장의 “미인도”에 대한 진품 시비 사건 때문이지요. 천 화백은 끝까지 자신의 작품이 아니라고 말하였지만, 사람들은 듣지 않았습니다.

많은 감정사들이 그녀의 작품이라고 판결하였고, 입장이 난처해진 미술관에서도 천 화백의 작품이라 주장하였지요.

마음에 큰 상처를 입은 천 화백은 자신의 작품들을 서울 시립 미술관에 기증하고,

큰 딸이 있는 미국으로 떠났습니다.

그 뒤 진품 위조 사건은 범인이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천 화백은 한국에 다시 돌아오지 않은 채 지금도 스케치북을 옆구리에 끼고

중남미를 여행하고 있다고 하네요.




[ 자살의 미 (1968) ]
누구보다 많은 열정을 품었기에 또한 그만큼의 한(限)을

가슴에 품고 살아야 했던 여인.

그녀의 인생에 자살이란 단어가 들어왔을 때 느꼈던

나름대로의 차가운 미학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잿빛 푸른 색으로 그려진 꽃과 구름으로 자살이라는

가장 극한 감정을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청춘의 문 (1968) ]
천경자 화백을 유명하게 만든 작품 중 하나 이지요.

죽은 사람인양 회색빛 여인의 얼굴은 꿈을 꾸고 있는 듯

느껴지기도 합니다.

또한 그녀의 얼굴은 전통적 한국 여인과는 다르지요.

환상적인 여인의 얼굴과 분위기에서 천화백이 바라는

이국에의 동경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마도 이 여인은 천 화백의 꿈이자 이상인 듯 합니다.




꽃과 나비 (1973) ]
한 무더기 아름답고 화려한 꽃다발 아래에 반라의 여인이

한가롭게 누워있습니다.

그녀의 피부색은 그녀가 여기 한국의 사람은 아니라고

느끼게 하고 있네요.

그리고 화려한 공작새와 꽃들도 먼 이국의 정서를 물씬

풍기게 합니다.

여느 천 화백의 그림처럼 색감과 구성이 화려합니다




이탈리아 기행 (1973) ]
1960년대 말에 시작된 천 화백의 유랑은 많은 작품의 소재를

만들었습니다.

1969년에 갔던 이탈리아에 대한 감흥을 3년 동안 이 작품으로

완성하였지요.

이탈리아 르네상스를 열었던 보티첼리의 그림과 멋진 건축물이

 찍힌 사진, 여인의 장갑 그리고 양주병과 꽃으로 화폭을 채웠습니다.

 몇 안 되는 소재들이지만 화려하게 표현된 이 작품으로

그녀는 자신의 느낀 이탈리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孤 (1974) ]
머리에 가득 꽃을 꽂은 이 여인은 너무나 아름답지만

그 큰 눈과 처연한 입술의 끝은 한없이 슬퍼보입니다.

무심한 듯 허망한 듯 바라보는 여인의 시선이 그녀의

짙은 피부색보다 더 내 가슴을 더 막막하게 합니다.

늘상 외로움을 품고 살았다는 천화백은 그림 속에

등장하는 여인에게 자신의 외로움을 덧입혀주었습니다




사월 (1974) ]
1974년 아프리카를 여행하고 돌아온 뒤 그린 그림 속 갈색 피부 여인의 머리칼에는

연보랏빛 등꽃들이 가득 채워져 있습니다.

사월의 신비로움과 화사함이 꽃잎 끝에서 뚝뚝 떨어지고 있네요.

강렬한 호랑 나비의 무늬보다 여인의 연보랏빛 입술에 먼저 시선이 가는 것은 왜일까요.



[ 인도 올드 델리 (1979) ]
올드 델리는 수 천년 동안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많은 성곽들과 모스크,

유적들이 많이 남아있는 인도의 오래된 도시입니다.

우리의 옛 시골 장터처럼 형성된 올드 델리 길가의 사람들의 모습을 풍경화로

담아내었네요.

인도의 전통 의상인 사리를 입고 있는 여인들의 모습에서 이국적 정서를 느끼게 됩니다.




두상 (1982) ]
너무나 강하고 화려하여 슬프고 애처로운 이 그림은 천경자 화백의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지요.

그녀가 느끼는 아름다움은 슬픔의 애상에서 시작된 것임을 뼈 속 깊이

사무쳐 느끼게 하지요.

쏟아지는 꽃비 속, 처연한 눈망울의 여인은 차가와 보이지만 사랑이 필요한,

 누군가를 바라고 있는 천 화백의 또 다른 얼굴인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