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미술의 거장을 만난다 | |||
한국근대미술사를 조명하는 [한국근대미술걸작전:근대를 묻다]展 | |||
이중섭, 박수근, 김환기, 천경자, 오지호 등 한국 미술계의 거장 105명의 작품 232점이 덕수궁 미술관에 모인다. 한국 근대 미술을 소개하고 보존 수복 과정을 공개하는 [한국근대미술걸작전 : 근대를 묻다]가 오는 23일부터 덕수궁미술관에서 무료로 열린다. 20세기 격변의 시대를 살아 온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당대의 작품이 내포하는 선구적 요소가 한국 미술사 속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조명하는 이번 전시는 ‘근대인’, ‘근대의 일상’, ‘근대의 풍경’, ‘근대의 꿈’, ‘근대의 복원’의 총 5부로 구성됐다. 1부 ‘근대인’에서는 식민지와 근대화를 함께 겪어야 했던 근대인의 모습을 되돌아본다. 지식인과 신여성의 이미지, 육체를 자유롭게 표현한 것이 특징으로 하는 ‘근대인’에는 이쾌대의 ‘두루마기 입은 자화상’, 임군홍의 ‘여인좌상’ 등을 만나 볼 수 있다. 2부 ‘근대의 일상’에는 과학의 발달이 가져다 준 근대적 요소들과 개개인의 경험이 화폭에 담겨있다. 일과 휴식을 비롯해 자유연애사상과 시대적 고난이 드러난 ‘근대의 일상’에는 박수근의 ‘아기업은 소녀’, 이응노의 ‘취야’, 이중섭의 ‘부부’ 등이 전시되어 있다. 3부 ‘근대의 풍경’에는 과학적 관찰을 통한 풍경화가 전시되어 있다. 도시와 농촌은 삶의 터전에서뿐만 아니라 여행을 기반으로 한 이국풍경도 보인다. ‘근대의 풍경’에서는 오지호의 ‘남향집’을 비롯해 박성환의 ‘한강대교’, 임용련의 ‘에르블레의 풍경’을 만나볼 수 있다. 4부 ‘근대의 꿈’에서는 근대적 공간에서 이상을 실현하지 못했던 피식민인의 몽환적인 꿈과 동양적 근대를 구현하기 위한 전통성의 회복이 엿보인다. 천경자의 ‘굴비를 든 남자’와 이중섭의 ‘애들과 물고기와 게’, 김환기의 ‘영원의 노래’에는 행복의 이미지가 담겨 있다. 5부 ‘근대의 복원’은 특별전의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이유태의 ‘화음’, 권진규의 ‘마두’가 전시된 5부에는 근대미술작품의 보존과 수복을 위해 이루어진 과정이 소개되어 미술품의 보존 관리에 대한 관심과 관람 문화의 정착을 꾀한다. 이번 전시는 덕수궁미술관 개관 10주년을 기념하는 학술행사와 일반인과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 미술관에서 근대 영화를 만나고 한국영화의 미술감독을 주인공으로 하는 영화제 행사도 마련됐다. 뿐만 아니라 이중섭의 '흰소', '은지화', 박수근의 '할아버지와 손자', 이쾌대의 '군상' 등의 걸작과 함께 김기창의 일기형식의 화첩, 이쾌대가 부인에게 바친 연서 등을 보는 것도 이번 전시의 또 다른 재미가 될 것이다. 외국 유수의 미술 작품만이 인기를 얻고 있는 요즘, [한국근대미술걸작전 : 근대를 묻다]는 한국 미술의 명작과 함께 한국 근대를 되돌아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전시정보] 전시명 : [한국근대미술걸작전 : 근대를 묻다] 전시기간 : 2008.12.23-2009.3.22 전시장소 : 덕수궁미술관 관람료 : 무료 |
미술전시/미술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