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신제품정보/e-Business

DOI 정의

DOI 정의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는 디지털 환경에서 지적 재산물에 대한 영속적인 고유 식별자를 말한다. 간단히 말해서 디지털 콘텐츠에 붙는 일종의 바코드이다. DOI는 디지털 콘텐츠에 식별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저작권을 보호하고, 지식정보의 생산과 유통,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된 기술이다. 이는 주소나 위치의 변경시 경로를 자동추적해 불법복제를 막도록 돕는다.

보통 인터넷 사용자들은 URL(Uniform Resource Location)을 사용하여 WWW의 위치를 식별하여 접근하는데 이는 콘텐츠의 식별자라기 보다는 하나의 물리적 주소이기 때문에 해당 콘텐츠의 위치나 시스템의 주소가 변경되면 해당 콘텐츠에 접근할 수가 없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디지털 콘텐츠의 영구 식별자를 만들 필요성이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는 온라인을 통해 거래가 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작권 보호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따라서 고유한 식별자를 부여하여 마치 출판물들에 부여된 식별자 ISBN 이나 유통물들에 부여된 식별자 UPC(barcode) 등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전세계적으로 단일한 식별자인 DOI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1994년 미국출판협회(AAP)의 이사회는 특별위원회를 설치하여, 원래는 URI(Uniform File Identifier)로 불려진 디지털 콘텐츠의 영구 식별자 시스템을 제안 하였다. 그 후 DOI 체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CNRI(Corporation for National Research Initiatives) 과의 컨소시엄으로 DOI를 URL로 변환시키는 인터넷 핸들(handle) 기술을 도입하였고, 1998년 컨소시엄은 DOI 체계의 정책 수립하고, DOI 등록관리를 담당하는 IDF(International DOI Foundation)를 결성하여 현재 DOI 시스템 체계를 구축하게 된 것이다.

DOI는 ISO(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 국제 표준화 기구), WIPO(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 세계 지적 소유권 기관), NISO(National Information Standard Organization : 미국 정보표준기구),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 인터넷 기술 특별 조사 위원회),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 MPEG21, INDECS(INteroperability of Data in E-Commerce System), OEB(Open eBook Standard : 미국에서 제정한 개방형 전자책 표준안) 등에서 식별자 시스템의 표준으로 인정된 기술이다.

DOI는 인터넷 주소가 변경되더라도 사용자가 그 문서의 새로운 주소로 다시 찾아 갈 수 있도록, 웹파일이나 인터넷 문서에 영구적으로 부여된 식별자이다. 중앙에서 관리되는 디렉토리에 DOI를 제출하고 나서, 정식 인터넷 주소 대신 그 디렉토리의 주소에 DOI를 더하여 사용하게 된다.

DOI 시스템은 Corporation for National Research Initiatives와 협력관계에 있는 미국 출판업 협동조합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현재는 세계 DOI 재단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DOI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중앙의 관리자 프로그램이 웹페이지의 주소를 최신의 것으로 고쳐주기 위한 복안이다.
현재 디지털 콘텐츠 등록자에게 DOI prefix를 부여하는 DOI 등록관리 기관으로는 CrossRef, Content Directions, 그리고 국내 업체인 엔피아 시스템즈(Enpia Systems) 들이 있다.